금감원, 美 관세 충격에 비상대응체계 가동…시장 안정 총력 대응 당부
금융·증권
입력 2025-04-08 10:56:10
수정 2025-04-08 10:56:10
이연아 기자
0개

이 원장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소재 금융감독원에서 미국 상호관세 대응점검회의를 개최하고 금감원 비상대응 체계 가동을 통해 산업별 피해분석, 금융시장 안정, 금융권 건전성 관리 등 총력 대응을 당부했다.
금감원은 매주 원장 주재로 상호관세 관련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며 총 5개반(총괄반·시장점검반·산업분석1반·산업분석2반·권역별대응반)을 구성해 관련 실무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이 원장은 지난 2일 미국 상호관세 발표 후 글로벌 경기침체 우려가 확대, 지난 4일 즉각적인 중국의 보복조치로 인한 무역갈등 확산 가능성 등의 영향으로 글로벌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과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 원장은 "다수 국가에 대한 동시다발적 차등관세로 우리 산업에 대한 영향과 파급경로가 복잡한 만큼 수출품의 생산이동 경로를 최대한 파악해 피해 수준을 분석하고, 직접 영향을 받는 수출기업과 중소 협력업체(1·2차 vendor)에 대한 영향을 살펴 관계기관과 함께 필요한 대응방안을 강구해달라" 주문했다.
이어 그는 "부정적 시장 파급효과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시장안정 조치를 적시에 시행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미국 상호관세 부과 이후 금융권의 기업자금 취급 동향과 기업대출 건전성 추이 등에 대해서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이 원장은 "주가급락으로 ELS·레버리지 상품 등 개인투자자 중심으로 투자 손실 확대 우려가 커질 수 있으므로, 고위험 상품판매 현황 점검 등 소비자보호를 위해 선제적으로 대응해달라"고 주문했다.
이어진 금감원 임원회의에서는 금융권 소통을 통한 미국 상호관세 부과에 따른 대응책 마련과 전자금융거래 안정성 확보 바안 등을 논의했다.
은행권 대상 미국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대한 자금지원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자본규제 관련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방안이 거론됐다. 보험업권 대상으로는 자본규제 합리화, 보험부채 평가기준 정비 등 제도 개선에 따른 변화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이해관계자의 의견 수렴을 위한 충분한 준비기간 부여 등이 논의됐다.
이 원장은 이어 최근 발생한 한국거래소와 키움증권 전산장애를 언급하며 "자본시장 거래 안정성에 대한 불안·불신이 증폭될 수 있다"지적했고, 관련 점검과 비상 대응에 힘써줄 것을 지시했다. 이어 그는 "사고 발생시 투자자 피해보상이 신속히 이뤄질 수 있게 해달라"고 말했다. / yale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인사] 금융위원회
- BNK금융, 美 상호관세 관련 긴급 금융시장 점검…위기상황관리위 가동
- 한투증권 "LG엔솔 1분기 '깜짝 실적', 지속 가능 여부는 미지수"
- DS투자 "SK바이오팜, 탄탄한 성장세 유지…美관세 우려 과다"
- NH투자 "카카오, 톡 개편 호재…자회사 개선세 주목"
- 메리츠 “한전, 방어주로서 가치…지금 최고의 주식 될 수도”
- KB금융, KB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참여 스타트업 모집
- 신한투자 “독감·산불·눈 여파…손보사 1분기 실적 부진 전망”
- IBK기업은행·SKT 협업 보이스피싱 탐지 서비스 정식 오픈
- KB증권 "LG전자, 1분기 실적 순항에도 美관세 우려…목표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