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배터리 점유율 ‘뚝’…中 CATL, 韓 안방 넘보나
경제·산업
입력 2025-04-18 17:22:49
수정 2025-04-18 18:38:34
이혜란 기자
0개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느는데…K-배터리는 점유율↓
CATL, 韓법인 설립…IRA·CRMA 규제 우회 전략일 듯

[앵커]
전 세계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중국 기업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습니다. K배터리 3사는 중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에서도 점유율이 하락한 가운데, 글로벌 1위 전기차 배터리 기업인 중국 CATL은 최근 한국에 법인을 설립하며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는데요. 한국 배터리 업계에도 가격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입니다. 이혜란 기잡니다.
[기자]
중국 시장을 제외한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시장에서 국내 배터리 3사(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의 점유율이 하락하고 있습니다.
시장조사업체 SNE리서치에 따르면 올해 1~2월 중국을 제외한 글로벌 시장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은 총 58.3GWh(기가와트시).
전년 동기 대비 27.3% 늘었습니다.
글로벌 전기차용 배터리 사용량은 증가세지만 같은 기간 국내 배터리 3사 점유율은 38.6%로, 지난해(44.8%)보다 6.2%포인트 떨어졌습니다.
중국 배터리 업체가 성장하면서 점유율을 내주는 모습입니다.
LG에너지솔루션의 전기차 탑재 배터리 사용량은 12.2GWh로 점유율이 23.4%에서 20.9%로 떨어졌고, 삼성SDI는 4.2GWh로 11.8%에서 7.2%로 점유율이 하락했습니다.
SK온(6.1GWh)만 9.6%에서 10.5%로 늘었습니다.
한국 업체의 점유율 하락은 세계 1위 중국업체 CATL의 점유율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같은 기간 CATL은 16.8GWh로 점유율이 26.9%에서 28.8%로 상승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CATL은 최근 한국에 법인을 설립하며 시장 확대에 나서고 있습니다.
미국 인플레이션감축법(IRA)과 유럽연합의 핵심원자재법(CRMA) 등 중국산 배터리에 대한 규제를 우회하기 위한 전략이라는 분석.
이를 통해 한국을 생산과 판매 거점으로 삼아 글로벌 시장을 공략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이러한 움직임에 한국 배터리 업계에 가격 경쟁 압박을 가중시킬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 최근 보급형 전기차 확대로 인해 LFP(리튬인산철) 배터리의 비중이 늘어난 만큼, 이 분야에서의 한중 기업간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가장 많이 늘어난 구간은 '26억 이상'
- 쿠팡 로켓배송,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성장 이끌어
- 포스코, 사우디 아람코 플랜트에 HIC 강재 첫 납품
- 대우건설, 천호동 532-2 일대 재개발사업 시공사로 선정
- 수도권·지방 격차 확대…전셋값 양극화 심화
- 상반기 LCC 국제선 탑승객, 대형항공사 3년 연속 추월
- LG유플러스, 한전과 맞손…1인가구 돌봄사업 지원
- 엘앤에프, 재무부담에도 ‘LFP’ 승부수 띄운 속내는?
- [김효진기자의 heavy?heavy!] “이스타항공 타고 도쿠시마 라멘 한 그릇 어떠세요”
- "살모넬라 식중독 5년간 8000명 육박…여름철 집중"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수성구 파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한국마사회 대구지사, 지역 주민 복지 증진 위한 업무협약
- 2김한종 장성군수, 11개 읍·면 순회 '이장과의 소통 간담회' 진행
- 3장성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스미싱' 경고
- 4영덕군-박형수 국회의원, 2026년 국비 확보 정책협의
- 5대구 중구,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 착수…도심 경관 새 단장 나선다
- 6대구상수도사업본부, 달서구 일부지역 흐린 물 출수 예상
- 7대구교통공사,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업’ 선정
- 8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가장 많이 늘어난 구간은 '26억 이상'
- 9금융위, 자본규제 개선…"주담대 죄고 벤처투자 문 푼다"
- 10포항시, 수소차 보조금 상향…충전 인프라도 대대적 개선 나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