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자원 비축·관리체계 강화…비상동원광산 지정 추진
경제·산업
입력 2025-05-10 11:25:29
수정 2025-05-10 11:25:29
김효진 기자
0개
산업부, '국가자원안보 확보를 위한 고시' 제정·시행

[서울경제TV=김효진기자] 정부는 석유, 희토류, 리튬 등 핵심자원의 수급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비축·관리 체계를 강화하고자 '국가자원안보 확보를 위한 고시'를 제정해 시행했다.
이번 고시는 지난 2월 시행된 국가자원안보 특별법 및 시행령·시행규칙에서 위임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율하기 위해 마련됐다.
산업부는 국가 핵심자원을 석유, 천연가스, 석탄, 우라늄, 수소, 핵심 광물 등으로 정의하고, 재생에너지 생산 설비 소재·부품도 포함해 관리 강화를 결정했다. 이에 따라 태양광 설비의 태양전지·모듈·웨이퍼, 풍력 설비의 타워·너셀·해상풍력 전력 케이블 등이 핵심자원으로 분류됐다.
자원안보전담기관을 지정해 공급망 점검 및 분석, 위기 대응 매뉴얼 마련 등을 수행하도록 했으며, 한국해외자원산업협회, 에너지경제연구원, 한국석유공사, 한국가스공사, 한국수력원자력, 한국광해광업공단, 한국에너지공단 등이 각각 담당 기관으로 지정됐다.
연간 10만t 이상 석탄을 수입하는 사업자, 연간 100t 이상의 수소·수소화합물(암모니아) 등을 국내에 생산·판매·수출입하는 사업자도 공급망 취약점 점검·분석 기관으로 포함됐다.
자원안보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핵심자원을 생산·가공할 수 있는 광산·시설을 비상동원광산으로 지정하고, 운영·관리·채굴을 위한 계약 규정도 신설했다. 이를 통해 핵심자원의 위치, 매장량, 생산량, 품질, 채굴기법 및 가공시설 정보를 확보할 계획이다.
비상동원광산은 지정되더라도 보안 문제로 외부에 공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산업부는 밝혔다.
기관별로 흩어진 자원 안보 위기 경보 발령 기준을 통합해 관심·주의·경계·심각의 4단계로 구분하고, 석유·천연가스·핵심광물 등 분야별 기준을 마련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국가자원안보 특별법 관련 규정이 정비됨에 따라 자원 안보 위기에 대한 대비·대응 체계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hyojeans@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北 김정은, 라오스 시술릿 주석과 회담…'친선협력 강화' 강조
- 비트코인, 상승세 멈추고 4000달러 급락…'과열 조정' 진입
- 한국 내년 4월부터 '세계국채지수' 편입…75조원 유입 기대
- 15억 초과 거래 다시 늘었다…비강남 한강벨트 '갭투자' 몰려
- 현대차·기아 RV, 역대 최다 판매 눈앞…하이브리드 성장 견인
- 금값, 사상 첫 온스당 4000달러 돌파…"글로벌 불안에 안전자산 쏠림"
- AI 이어 양자까지…구글, 2년 연속 노벨상 수상자 배출
- 케이팝 데몬 헌터스 OST, 빌보드 2관왕…'골든' 8주째 1위
- 추석 6일째, 귀경길 일부 정체…오후 5~6시 절정
- WTO, 내년 세계 무역 성장률 0.5%로 대폭 하향…"트럼프 관세 여파"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5·18 유적 사진 담던 시민군 김향득 사진작가 별세
- 2차규근 의원 “한국은행 소유한 미술작품 친일 논란 작가 5명 확인, 총 3억 1천만원”
- 3김승수 의원 “30년 이상 노후주택 전국 557만호...안전평가 강화 등 대책 필요”
- 4차규근 의원 “수은 EDCF 청년지역전문가 합격자 증가에 반해, 실제 입행자는 줄어”
- 5차규근 의원 “국내은행 금융배출량 목표 대비 10.2백만톤(+6.7%) 초과 예상”
- 6김위상 의원 “2년 새 갑절 뛴 수입 멸종위기종, 보존 의무 환경부조차 몰라”
- 7김승수 의원 “2020년부터 국가유산청 해킹 시도 약 3만 6천 건…국가 정보 위기 상황, 각별한 보안대책 마련 필요”
- 8김위상 의원 “임금체불 피해 커지는데...사법처리는 4건 중 1건뿐”
- 9차규근 의원 “기재부, NXC 물납주식서 128억 원 배당금 받았다”
- 10김위상 의원 “폭행 산재 승인 5년 새 73% 급증…지난해 733명 ‘역대 최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