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은행 1분기 순익 6.9조…전년比 28.7% '껑충'
경제·산업
입력 2025-05-25 08:00:05
수정 2025-05-25 08:00:05
진민현 기자
0개
"지난해 1분기 ELS 배상금 따른 기저효과"
순이자마진 축소에 이자이익 1000억 줄어
시중·특수銀 순익 증가…지방·인뱅은 감소

[서울경제TV=진민현 인턴기자] 국내 은행들이 올해 1분기 6조9000억원의 순이익을 달성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5조3000억원)에 비해 28.7%(1조5000억원) 증가한 수치다.
이자이익이 줄고 판매관리비는 늘었지만 지난해 1분기 주가연계증권(ELS) 배상금(1조8000억원)에 따른 기저효과가 순이익 증가를 이끌었다.
금융감독원은 지난 22일 이같은 내용의 '2025년 1분기 국내은행 영업실적'을 발표했다.
시중은행은 전년 동기 대비 30.3% 증가한 3조8000억원, 특수은행들은 39.7% 늘어난 2조7000억원의 순이익을 각각 냈다.
반면 지방은행은 27.7% 감소한 3000억원, 인터넷은행은 2.6% 줄어든 2000억원의 순이익을 내는데 그쳤다.
1분기 국내은행들의 총자산순이익률(ROA)은 0.71%로, 전년 동기(0.57%)대비 0.13%p 상승했다. 자기자본순이익률(ROE) 역시 9.55%로, 1.75%p 증가했다.
국내은행들의 1분기 이자이익은 14조8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 동기(14조9000억원)에 비해 0.8%(1000억원) 감소한 수치다.
이자수익자산이 171조7000억원(5.3%) 늘었음에도 시장금리 하락 등으로 순이자마진(NIM)이 0.10%p 감소, 이자이익에 악영향을 미쳤다.
비이자이익은 2조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1000억원) 증가했다. 특히 시장금리 하락에 따른 유가증권평가이익 등 유가증권관련이익(2조4000억원)이 전년 동기(9000억원) 대비 1조5000억원 가량 늘었다.
판매비와 관리비는 6조8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6.3%(4000억원) 증가했다. 인건비가 3000억원, 임차료 등 물건비가 1000억원 각각 늘었다.
대손비용은 1조6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3.9%(3000억원) 증가했다. 홈플러스 기업회생과 신용손실 확대 우려 등에 따른 충당금 확대의 영향이다.
금감원은 "이자이익 감소와 대손비용 증가에도 불구하고 1분기 일회성 요인이었던 ELS 배상금 기저효과 등으로 순이익이 늘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대내외 불확실성이 지속돼도 은행이 본연의 자금중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도록 손실흡수능력 확충을 지속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jinmh0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가을 하늘 공활한데"…항공 3사, 가을 여행 특가 눈길
- 부실 코스닥社, 주주배정 증자 잇따라…'개미 무덤' 될라
- 은행권, 아시아 넘어 유럽으로…글로벌 사업 확대 박차
- 태어나자마자 재산 1억?…"0세 금수저 734명"
- 삼성, ‘실속형 AI폰’ 갤럭시 S25 FE 공개...하반기 스마트폰 대전
- 녹색에 빠진 유통업계…'말차 열풍' 속 디저트 행렬
- '가교보험사' 예별손보 출범…계약이전·매각 동시 추진
- 새내기 조선株 두 곳, 상장 한달 안팎 나란히 '공모가 상회'
- 10대 증권사 '해외주식 수수료 수익' 1조원 육박…전년비 60%↑
- 롯데면세점, 김포공항점에 '손바닥 정맥' 결제 시스템 도입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