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지역경제의 버팀목 강원랜드… 규제의 굴레를 벗을 때다
강원
입력 2025-10-19 21:11:34
수정 2025-10-19 21:11:34
강원순 기자
0개

강원랜드는 내국인이 출입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카지노로서 폐광지역 경제의 중추 역할을 맡고 있지만, 공기업이라는 이유로 사업 다각화, 투자, 마케팅 등 주요 경영 활동마다 정부의 승인 절차를 거쳐야 한다. 그 결과 세계 각국이 복합리조트(IR) 산업을 미래 성장 동력으로 키워가는 동안, 강원랜드는 여전히 ‘규제의 틀 안’에서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반면 일본은 2030년 오사카에 12조8000억 원 규모의 복합리조트를 개장할 예정이고, 태국과 필리핀 역시 수조 원대 민간 투자로 IR 산업을 육성 중이다. 세계 시장이 복합 관광산업 중심으로 빠르게 재편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의 카지노 산업은 여전히 ‘중독 예방’이라는 명분 아래 입장일수 제한, 매출총량제, 베팅한도 규제를 유지하며 산업 경쟁력을 스스로 약화시키고 있다.
정선, 태백, 영월, 삼척 등 폐광지역은 석탄산업 붕괴 이후 인구감소와 경기침체로 지역 소멸 위험에 놓여 있다. 이런 상황에서 강원랜드는 단순한 기업이 아니라 지역 생존의 기반이다. 그러나 과도한 규제와 느린 행정 절차로 인해 성장 동력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폐광지역은 국가 균형발전 정책의 사각지대에 머물게 될 것이다. 전문가들은 강원랜드의 제도를 글로벌 수준에 맞게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출입일수와 베팅한도 등 합리적 조정이 뒤따라야 지역경제의 지속 가능한 회복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강원랜드는 오는 11월 ‘백년기업 비전 발표회’를 통해 중장기 성장 전략을 공개할 예정이다. 2035년까지 2조5000억 원을 투입해 글로벌 복합리조트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이 담긴다. 지역 주민들은 이번 발표를 지역 재생의 전환점으로 기대하고 있다. “강원랜드가 변해야 지역이 산다”는 말은 단순한 구호가 아니라 지역민의 절박한 현실 인식이다. 그러나 공기업 특유의 절차와 심의 과정으로 인해 사업 추진 속도가 늦어진다면, 일본 오사카 IR 개장 등 글로벌 경쟁 흐름 속에서 기회를 놓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이제 강원랜드를 단순히 ‘규제의 대상’으로만 바라볼 때가 아니다. 규제의 목적은 통제가 아니라 균형이어야 한다. 폐광지역은 한 시대의 산업 전환을 상징했지만, 이제는 한국형 복합리조트 산업의 미래를 가늠하는 무대가 되고 있다. 강원랜드의 제도 혁신은 곧 대한민국 관광산업의 균형발전 방향을 결정짓는 시금석이다. 낡은 규제의 틀을 넘어설 때, 폐광에서 세계로 향하는 진정한 길이 열릴 것이다./k1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기자수첩] ‘보훈’의 이름이 무색한 공단의 민낯
- [기자수첩] 원주시의회, 시민이 지켜보고 있다.
- [기자수첩]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 이후의 길
- [기자수첩]원주시 · 시의회, '이탈리아 외유성 출장' ... 시민을 기만한 관광 아닌가
- [기자수첩]5년 앞으로 다가온 오사카 카지노, 강원랜드의 생존 전략은?
- [기자수첩]'보통 평가 뒤에 숨은 책임, 이제는 돌아봐야 할 때'
- [기자수첩]국민 눈 높이에 못 미친 광해광업공단, 존재 이유를 다시 묻는다.
- [기자수첩]한국관광공사, 공공기관 경영평가 E등급 이유는
- [기자수첩]횡성군, 청년면접수당 지원 ... 1년 예산 총 500만원, 실효성 의문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