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창업 필수 시대! ‘배달삼겹직구삼’ 4가지 핵심 포인트 전략 수행

신종 바이러스 사태가 심각해질수록 ‘배달’ 아이템의 성장세는 높아지고 있다. 대부분의 업종들이 위기를 맞은
상황에도 배달 업종만 ‘나 홀로 호황’을 누리는 이유다.
요즘 같은 시대에 배달 창업 아이템은 여러모로 잘 맞는다. 우선 큰
홀이나 주요 입지조건 선점이 필요 없어 창업 비용이 합리적이다. 여기에, 배달 앱의 활성화와 시장 성장을 타고 꾸준한 수요가 나타나고 있다.
한마디로 ‘저비용 고효율’의
최적화된 업종이다. 배달삼겹전문점 브랜드 ‘배달삼겹직구삼’도 이런 수혜를 누리고 있는 대표적인 배달 아이템이다.
바이러스 사태로 홀을 중점으로 운영되는 고깃집에 대한 수요는 고스란히 배달이 가능한 배달 전문 고기집으로 옮겨갔다. 직구삼은 여기서 한층 더 나아가 4가지 경쟁력을 더해 시장 안에서도
높은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다.
불에 직접 구워 불향이 가득 베어 있는 삼겹살 특유의 깊은 맛과 풍부한 육즙이 그대로 살아서 고객의 식탁까지
배달된다. 배달삼겹살이나 고기 제품은 매장에서 직접 구워먹는 방식과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는 편견을
깼다.
여기에 자체 R&D 연구소를 통해 쌓은 ‘노하우 집약’ 소스를 통해 확실한 맛의 체계를 확립했다. 같은 배달삼겹살집이라도 직구삼의 고기를 맛 보면 “한 번 맛본 사람은
있어도 한 번만 맛본 사람은 없다”는 말을 실감한다.
이밖에 바이러스 시대인 만큼 먹거리 위생과 신선도에 민감한 상황에서, 매일
배송되는 신선하면서 안정적인 물류 자재공급이 이뤄지고 있다. 또 현실에 안주하지 않고 업계의 다변화를
예측하고 고객의 입맛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꾸준히 신메뉴를 개발하는 중이다.
같은 배달 아이템이라도, 고객과 창업자가 원하는 ‘니즈’가 무엇인지를 제대로 파악하고 충족시킨 4대 성공 핵심 포인트로써 지금의 직구삼이 지속적인 고객 몰이와 수익률을 기록하는 주된 이유다.
한편 ‘배달삼겹직구삼’의
관계자는 “배달이 각광받는 시대라고 해서 무조건 배달 그 자체에 집중하기 보단, 그 안에서 내실을 다지고 지속적인 성공 모델을 찾는 브랜드의 선택이 중요하다”면서 “바로 직구삼이 이런 조건을 충족하는 배달삼겹전문점 브랜드”라면서, “브랜드가 추구하는 4가지 성공전략을 바탕으로 불황에 더욱 강한
진정한 의미의 성공 배달 창업의 기회를 잡으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유연욱 기자 ywyoo@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베트남 푸꾸옥, 5월 가정의 달 연휴 앞두고 '손님 맞이'
- 오필리, 마시는 견과유 ‘하루넛츠유’ 출시
- 네네치킨, ‘치즈 스노윙 증정 SNS 추리단’ 이벤트 진행
- 전북교육청, ‘AI 디지털교과서 체험 박람회’ 성료
- "미혼모 경제 자립 도와요"…해탄, 미혼모협회와 협약
- 매거진 ‘싱글즈’, ‘제1회 디어워즈’에 기프트 박스 협찬
- 단꿈아이, ‘설민석의 한국사 대모험’ 신간 출간
- 유럽 감성 골프웨어 ‘Lucky&7’, 韓 시장 공략…"패션 트렌드 제안"
- 랩노쉬, '프로틴 파우더 블랙업' 출시…"초콜릿 풍미 더해"
- 페어몬트 서울, 4주년 기념 ‘천원의 행복 캠페인’ 진행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3000억에 매물로 나온 '런던베이글'...새 주인 찾을까?
- 2역대 최대 실적에 날개 단 메리츠금융…금융주 시총 2위
- 3한은 기준금리 연 2.75%로 인하·성장률 1.5% 하향 조정
- 4현대엔지니어링 “인명 사고 발생에 머리 숙여 사과”
- 5현대차그룹, 미래 사업 잰걸음…“로봇 배터리 개발”
- 6“기업 고객 모셔라”…모빌리티 업계, B2B 시장 공략
- 7국내서 엎어진 오뚜기…해외에선 일어설까
- 8여의도 15배 규모 ‘그린벨트’ 푼다…지역전략사업 15곳 선정
- 9‘농약 우롱차’ 현대百 사과했지만…“백화점 먹거리도 못믿겠다”
- 10티맵모빌리티, 작년 매출 3226억원 ‘역대 최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