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신사업 주저하게 하는 ‘상속세 공포’

“이제 나이도 있고 해서 회사를 자식에게 물려주고 싶은데, 신사업에 손을 대면 가업상속공제를 못받게 된다네요.”
1970년대 1인 기업으로 시작해 현재 코스닥 상장사를 일궈낸 한 중소기업인의 고민이다. 그의 고민의 키워드는 ‘가업 승계’와 ‘신사업 진출’이다. 그는 “이제는 내가 사업으로 뭔가 더 이루기보다는, 일궈놓은 기업으로 내 자식 뿐 아니라 손자들까지 잘 살아갔으면 하는 바램 뿐 아니겠냐”고 답답해했다.
가업상속공제는 중소·중견기업의 원활한 가업승계를 지원하기 위해 연매출 3,000억원 미만 기업을 대상으로 최대 500억원까지 상속세를 공제해주는 제도다. 대상이 되기 위한 요건도 까다롭지만, 가업상속공제를 받은 후에도 업종·자산·고용 유지 등 사후관리 요건을 지키지 않으면 공제받은 세금을 도로 내놓아야 한다.
일정 기간 업종을 유지해야 하다 보니, 회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미래 신사업 계획과 가업상속공제를 통해 회사를 자식에게 물려주려던 계획이 충돌한 셈이다.
업종 유지 기간은 최근 10년에서 7년으로 단축됐고, 업종변경 허용 범위가 한국표준산업분류에 따른 소분류 내에서 중분류 내로 확대됐다.
하지만 신사업과 가업승계를 둔 중소기업인의 고민은 계속되고 있다. 가장 큰 이유는 아직도 여전한 상속세율 때문이다. 우리나라는 상속세율이 최고 50%에 달한다. 세계적으로도 가장 높은 수준이다. 가업상속공제와 같은 제도 없이 중소기업 후계자가 안정적으로 가업을 승계하기란 쉽지 않다. 재벌가 3·4세도 막대한 상속세를 내기 위해 보유주식을 매각하고 나면 해외투기자본의 공격에 노출되는 등 경영에 지장을 받는 실정이다.
고율의 상속세는 우리 강소기업의 역사를 끊고 신사업 진출마저 주저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다.
한 세무회계 사무소 홍보물에는 이런 글귀가 있다.
“상속세는 재벌의 경우 여러 루트를 통해 안낼 수 도 있지만 정당하게 낸다면 하나의 사업체를 무너뜨릴 수 있는 무서운 세금입니다.”
제대로 냈다가는 큰일 나고, 제대로 냈을 것으로 서로 믿지도 못할 정도의 높은 세율이라면, 현실적으로 조정될 필요가 있다. /정훈규기자 cargo29@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박땅꾼의 땅땅땅] 왜 토지투자를 할까? 목표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정부 정책을 따라간다
- [이지연의 스마트 스피치] 자발적 IR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사람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1시간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무모한 도전이 될까, 위대한 도전이 될까?
- [대박땅꾼의 땅땅땅] 꼼꼼히 준비해야 하는 지목변경
- [대박땅꾼의 땅땅땅] 기획부동산을 조심하자
- [기고] 국가인재생태계 개혁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3,000만 원짜리 토지 투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촛불은 꺼지면 안 된다”…여수촛불행동, 사법개혁·여수MBC 이전 반대 외쳐
- 2임미애 의원 “국산밀 재고 창고에 쌓이는데 농식품부는 ‘가루쌀’ 더 챙겨”
- 3경북테크노파크·한국전자파학회, 무선전력전송 기술 학술워크숍 개최 및 MOU 체결
- 4대구대, ‘취업 스테이션’ 홍보 행사 열어
- 5대구교통공사, ‘대구자활 별별순회장터’ 개최
- 6iM뱅크(아이엠뱅크)-LH대구경북지역본부, ‘ESG가치 실현 위한 탄소 중립 활동’ 금융 지원 업무협약 체결
- 7대구지방환경청, 문경 돌리네 습지보호지역 친환경 경작물 가을걷이 행사
- 8대경경자청, '2025 DGFEZ 바이오헬스케어 기업 투자 네트워킹 DAY' 개최
- 9임미애 의원 “농산물 유통개혁의 키 품목농협, 설립조차 어려워”
- 10오세훈 서울시장 “10·15 대책 대폭 수정해야”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