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통3사 통신장애로 311시간 '먹통'…1,885만명 피해

[서울경제TV=윤다혜기자] 이통사의 기지국 및 교환기 장애로 통신장애가 발생 등 시스템 장애로 인한 통신장애가 지속적으로 발생해도 이에 대한 이용자 보호 방안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양정숙 의원(무소속)이 18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 간 이동통신 3사의 음성통화·데이터통신·문자발송 등 통신서비스 장애가 총 19건이 발생했고, 이로 인해 피해를 본 이용자는 1,884만 6,250명에 달하며, 장애 누적 시간은 약 311시간 17분이 멈춘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사별로 보면, 통신장애 발생 총 19건 중 KT가 8건으로 가장 많았고 SKT 6건, LGU+ 5건 순으로 나타났다. 이 중 7건만이 이용자 피해보상으로 이어진 반면, 나머지 12건은 약관상 보상대상이 아니라는 이유로 제외된 것으로 확인됐다.
통신 3사의 손해배상 범위 및 청구와 관련한 이용약관에 따르면, 고객의 책임 없는 사유로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는 경우에 연속 3시간 이상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하거나 1개월 누적시간이 6시간을 초과할 경우, 서비스를 제공받지 못한 시간에 해당하는 월정액과 부가사용료의 8배에 상당하는 금액을 기준으로 해 고객의 청구에 의해 협의하여 손해배상을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통신장애 시간이 그 기준치인 3시간을 넘긴 경우는 단 6건에 불과했다.
지난 2018년 11월에 발생한 KT 아현국사 화재이후 이통 3사는 이용자 피해구제 강화를 위해 방송통신위원회와 협의를 거쳐 지난해 10월부터 이동통신 이용약관에 손해배상 금액을 기본요금과 부가사용료에 대해서만 6배에서 8배로 상향해 적용하고 있다.
양정숙 의원은 “이동통신사들의 시스템 장애로 인한 통신장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나, 이통사의 손해배상 이용약관 규정으로는 3시간 이하의 통신장애 피해에 대한 보상이 어렵다”며, “이는 이통사의 이용약관이 자신들 입맛대로 규정하고 있어 이용자에 대한 보호 방안이 미흡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이통사 중심이 아닌 이용자 중심의 이용약관 내용을 담아 피해보상 규모 범위를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yunda@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넥스트플레이어 ‘헬스헬퍼’, 코엑스몰 옥외광고 캠페인
- 맨파워코리아, 서희태 지휘자 초청 ‘마에스트로 리더십’ 사내 강연
- 식스도파민, '너'스텔지아로 AI 크리에이터 쇼케이스 본선 진출
-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한류문화 프로그램' 본격 개시
- 조이, 프리미엄 유모차 ‘피니티 시그니처’ 1차 물량 완판
- 레이블코퍼레이션, 최민석 단독 대표 체제로 전환
- 리튬포어스, 카카오프렌즈 테마 에어팟4 케이스 출시
- 롯데웰푸드, ‘얼려먹는 꼬미루미’ 워터파크 투어 샘플링 이벤트 개최
- 지씨셀, 듀셀과 인공혈소판 CDMO 계약 체결
- 롯데百, 글로벌 슈즈 브랜드 ‘크록스’ 팝업 행사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넥스트플레이어 ‘헬스헬퍼’, 코엑스몰 옥외광고 캠페인
- 2포커스에이아이, '크레더 전략적 투자 협약식' 개최
- 3상장 앞둔 도우인시스 "공모 자금 대부분 신규 설비 투자에 사용"
- 4신한은행·키라보시금융 업무협약…베트남 진출 일본계 기업 금융지원 강화
- 5이니텍·아스트론시큐리티, CISO서 '제로 트러스트·CNAPP 솔루션' 선봬
- 6맨파워코리아, 서희태 지휘자 초청 ‘마에스트로 리더십’ 사내 강연
- 7케이쓰리아이, 국내 아동문학 대표 기관과 'XR 콘텐츠' 협력
- 8현대커머셜, HD현대건설기계 대상 '15t 휠 굴착기 무이자 프로모션' 진행
- 9식스도파민, '너'스텔지아로 AI 크리에이터 쇼케이스 본선 진출
- 10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한류문화 프로그램' 본격 개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