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지대 한의과대학, 한의약의 근거화와 세계화를 위한 연구 과제 수행…피인용지수 5점 이상 논문 4편 게재

전국 입력 2021-07-05 18:20:03 수정 2021-07-05 18:20:03 강원순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다양한 국가 연구 과제를 수행하는 상지대 한의과대학 박사들이 약리학교실에 모였다.[사진=상지대]

[서울경제TV 강원=강원순 기자] 상지대학교는 한의과대학 약리학교실에서 최근 발표한 연구내용을 피인용 지수(IF. Impact Factor 학술잡지의 영향력을 측정하는 지표) 5점 이상의 논문으로 개제하는 쾌거를 이뤘다고 5일 밝혔다.


약리학교실에서는 전립선질환, 비만, 대장질환, 피부질환 등의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이용한 한의근거 소재의 효능평가를 진행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다양한 국가 연구 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이번에 게재된 논문으로는 올해 약리학교실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 진보람 박사가 제1 저자로 참여한 논문 3편이 있으며, 자소엽 성분으로 대장암 효능을 확인한 'Rosmarinic acid represses colitis-associated colon cancer: A pivotal involvement of the TLR4-mediated NF-κB-STAT3 axis (Neoplasia 저널, 피인용지수: 5.715'가 있다.

또한 비만에서 대표적 보혈한약재인 당귀의 주성분인 nodakenin의 효능을 확인한  'Nodakenin represses obesity and its complications via the inhibition of the VLDLR signalling pathway in vivo and in vitro (Cell proliferation 저널, 피인용지수: 6.831)'이 있으며, 청열 약재인 황금의 berberine의 전립선 비대에 대한 효능을 연구한 'Oral administration of Berberine represses macrophage activation-associated benign prostatic hyperplasia: a pivotal involvement of the NF-κB (Aging-us 저널, 피인용지수: 5.682)'이 있다. 


다른 한편은 대학원 박사과정 박예진 학생이 주저자인 감비정의 항비만 효능을 규명한 내용으로 한의학적 복합처방을 활용하여 국제 저널에 논문을 개제하기 힘든 실정에도 분명한 결과와 명확한 기전규명을 바탕으로 'Therapeutic effects of Gambi-jung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Biomedicine&Phamacology 저널, 피인용지수: 6.529)'에 논문을 실었다.


상지대 안효진 교수는 “한의약의 근거화와 세계화를 위해 계속해서 연구에 힘쓰며, 상지대학교 연구 역량 강화에 일조하겠다”고 밝혔다./k1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강원순 기자

k10@sead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