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훈민정음’의 재탄생, NFT로 디지털화된다.
간송미술관, 1개당 1억에 100개 한정판 판매 예정

한글 창제의 목적과 원리를 밝힌 ‘훈민정음 해례본’이 NFT로 재탄생한다.
훈민정음 해례본은 국보 제70호로 유네스코 세계기록문화유산이기도 하며, 간송미술관이 소장하고 있다. 그 훈민정음 해례본을 NFT(대체불가토큰, Non-fungible Token)라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 001번부터 100번까지 고유번호가 붙은 100개의 한정판을 만들어 1개당 1억에 판매한다는 계획이다.
이번 훈민정음 NFT는 우리 문화재를 수호, 보존, 승계하고자 했던 간송의 뜻을 이어가고자 하는 의지의 표현이기도 하지만, 최근 재정난에 직면해 있는 간송미술관 입장에서는 100억원이라는 후원금 확보 차원이기도 하다.
실제로 간송미술관은 작년 5월에는 보물 불상 2점을 경매에 내놓았고, 국립중앙박물관이 수십억원으로 추정되는 가격에 구매했었다.
간송미술관은 다각적인 논의를 거쳐 훈민정음을 NFT화하는 것에 대한 4가지 주요 원칙을 정립하고, 향후 우리 문화재를 국민, 더 나아가 세계인과 함께 향유하기 위한 혁신적인 행보를 이어갈 것이라고 밝히긴 했지만, 앞으로 국보급 문화재 중에서도 최고의 가치로 치는 ‘훈민정음’을 상품화하는 것에 대한 논란이 예상된다.

[사진=간송미술관. 1938년 간송 전형필의 국내 첫 사립미술관인 보화각 개관 기념 사진, 왼쪽부터 이상범 박종화 고희동 안종원 오세창 전형필 박종목 노수현 이순황]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박땅꾼의 땅땅땅] 왜 토지투자를 할까? 목표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정부 정책을 따라간다
- [이지연의 스마트 스피치] 자발적 IR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사람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1시간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무모한 도전이 될까, 위대한 도전이 될까?
- [대박땅꾼의 땅땅땅] 꼼꼼히 준비해야 하는 지목변경
- [대박땅꾼의 땅땅땅] 기획부동산을 조심하자
- [기고] 국가인재생태계 개혁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3,000만 원짜리 토지 투자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 해운대구, 동백공원 공영주차장에 초고속 전기차 충전기 4기 설치
- 2기장군, 인플루엔자 예방접종 확대 지원사업 시행
- 3남원시, 하반기 자전거도로 77km 전 구간 안전점검
- 4‘타임빌라스 수원’ 1주년 기념 고객 감사제 진행
- 5이디야커피, 해외 간편결제 서비스 도입…관광객 결제 편의 강화
- 6인천시, 차이나타운서 '1883 인천 짜장면 축제' 개최
- 7"낮엔 자연, 밤엔 빛" 남원 함파우 지방정원 조성 박차
- 8한은 금통위 3연속 기준금리 동결…금융안정 택했다
- 9남원경찰서, 제80주년 경찰의 날… 경찰·시민 유공자 48명 표창
- 10장수군, 논개 탄신 451주년 기념 '의암주논개상' 시상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