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슨해진 유통가에 기강 잡으러 온 ‘쿠팡’

[앵커]
쿠팡이 지난해 4분기 까지 2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했습니다. 브랜드 파워나 점유율 면에서도 전통의 유통 강자인 신세계·롯데와 어깨를 나란히 하면서, 업계 긴장감을 불어넣고 있습니다. 서지은 기자입니다.
[기자]
쿠팡이 2014년 ‘로켓 배송’을 선보인 이후 10년도 안 돼, 국내 유통 ‘왕좌’ 경쟁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지난해 매출 기준으로 신세계그룹이 국내 유통시장 점유율 1위를 수성했지만, 2위 자리에는 롯데와 현대백화점에 앞서 쿠팡이 이름을 올렸습니다.
쿠팡은 최근 몇년 간 말 그대로 로켓 성장을 이어오고 있습니다. 2018년 4조원대 였던 매출은 2020년 약 14조원으로 폭증했고, 바로 이듬해 20조원 고지를 넘어섰습니다.
지난해 매출은 약 26조6,000억원으로 또다시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습니다. 특히 지난해 3분기부터 두 분기 연속 흑자를 달성헀고, 연간 적자 규모는 전년 대비 92% 줄어든 1447억원에 그쳤습니다.
올해는 첫 연간 흑자도 기대되는 만큼, 점유율 경쟁에 고삐를 또 한번 죌 전망입니다.
김범석 의장은 지난해 실적을 발표한 뒤 “쿠팡은 차별화한 상품과 고객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며 “국내 온·오프라인 통합 유통 시장에서 아직 쿠팡이 차지하는 비중이 작은 만큼, 성장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인터뷰] 정연승 / 단국대 경영학부 교수
“쿠팡은 이제 온라인 중심으로 그동안 성장해왔는데 앞으로는 오프라인에 대한 보완, 장기적인 관계에 있는 고객 이런 형태의 질적인 부분에 좀 더 변화를 줘야 될 것 같고요. 매출 기준으로는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진검승부가 되지 않을까 예상하고…”
신세계그룹도 본격적인 유통대전 준비에 돌입했습니다. 오는 7월 출범을 목표로 이마트, 신세계백화점·면세점, 스타벅스, G마켓, SSG닷컴 등 핵심 계열사 6곳이 연합한 통합 유료 멤버십 서비스를 선보입니다.
롯데도 4000만 회원 수를 보유한 ‘엘포인트 멤버스’와 롯데호텔 멤버십 ‘롯데호텔 리워즈’ 적립 및 사용 혜택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또, 롯데홈쇼핑의 MZ세대 전용 유료 멤버십 ‘와이클럽’ 등을 통해서도 멤버십 서비스를 늘려가고 있습니다.
한편, 쿠팡은 지난해 말 기준 업계 최다인 1,100만명의 유료 회원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올해 자동화 물류 인프라 구축에 속도를 내며 배송 효율을 확대하고 소비자 접점을 높이는 ‘쿠세권’(쿠팡 로켓배송 가능 지역)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서지은입니다. /writer@sedaily.com
[영상편집 채민환]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SK에코플랜트, 작년 영업익 2346억원…전년比 49%↑
- “신축 아파트 희소성 더 커진다”…‘용인 푸르지오 원클러스터 2·3단지’ 선점 경쟁 후끈
- 방통위, 광고메시지 '친구톡' 준비 카카오에 "스팸 방지 협조 요청"
- HLB 진양곤, 간암 신약 불발 ‘사과’…“끝 아니다”
- 발란, 결국 법정관리…미정산 대금 130억 불투명
- 보험 수수료 공개가 생존 위협?…소비자 “환영”
- 신영證 등 증권사 연대, ‘홈플러스’ 형사고소…MBK는?
- 대우건설 김보현, 재도약 다짐…'안전' 최우선 과제로
- “中企 판로확대 돕는다면서”…‘T커머스 허가’ 하세월
- 코웨이 ‘집중투표제’ 도입 불발…행동주의 펀드 완패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