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대 직원들, 월급 모아 학생 장학금 1억 원 기탁
월급 1% 적립해 직원장학회 운영…지금까지 8억 3천 여 만 원 장학기금 기탁
2009년부터 장학생 선발해 지금까지 총 5억 5천여만 원 장학금 전달
매년 10명 내외 장학생 선발해 매 학기 100만 원씩 2개 학기 지원

[서울경제TV 대구=김정희 기자] 영남대학교(총장 최외출) 직원들이 학생 장학금 1억 원을 대학 발전기금으로 기탁했다. 직원들이 매달 월급의 일부를 십시일반 모은 돈이다.
영남대 직원들은 2008년부터 월급 1%를 적립해 직원장학회를 운영해 오고 있다. 지금까지 총 8억3천 여 만 원을 장학기금으로 기탁했으며, 이 가운데 5억5천 여 만 원을 학생들에게 장학금으로 전달했다.
3일 오후 3시 영남대 직원장학회 권기영 회장이 최외출 총장을 만나 장학기금을 전달했다.
권기영 영남대 직원장학회장은 “직원들이 대학 구성원으로서 학생들이 공부하는데 작은 보탬을 주기 위해 매달 월급에서 일정금액을 십시일반 모으고 있다. 영남대 직원장학회는 직원들이 자발적으로 15년간 꾸준히 참여해오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면서 “직원들과 함께 뜻을 모아 앞으로도 더욱 발전하는 장학회가 되어, 학생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최외출 영남대 총장은 “대학과 학생들의 발전을 위해 맡은 바 자리에서 묵묵히 헌신하고 계신 직원 선생님들의 노고에 항상 감사한 마음을 갖고 있다. 특히, 최근 대규모 국책사업 등의 추진 과정에서 탁월한 역량을 발휘해준 선생님들의 노고에 감사드린다.”고 했다.
이어 “선생님들의 뜻을 모아 장학회를 운영하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직원 선생님들이 15년간 한마음 한뜻으로 장학회를 운영해 오고 있다는 점에서 격려와 존경을 표한다”면서 “직원 선생님들의 소중한 뜻을 담아 학생들이 좀 더 나은 환경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영남대 직원장학회는 2009년 14명의 장학생을 선발해 각자 100만원씩 장학금을 전달한 것을 시작으로, 매년 10명 내외의 장학생을 선발해 장학금을 지원해 오고 있다.
지금까지 총 98명의 장학생을 선발했으며, 올해도 5월 중 장학생을 선발해 오는 6월 장학금을 전달할 예정이다. 특히 2020년에는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학생들을 위해 2억 원의 특별장학금을 전체 재학생 대상으로 지원한 바 있다. /95518050@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영상뉴스] 달성군,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작
- [김천시 소식] 그늘진 곳에 햇살을, 김천 복지의 내일을 그리다
- [경주시 소식] 주낙영 경주시장, 확대간부회의 주재…집중호우 피해·하반기 정책과제 점검
- [포항시 소식] 본격 피서철 앞둔 포항시 해수욕장, 다양한 축제·문화 행사로 ‘활기’
- 김천교육청, 2025 김천교육지원청부설 영재교육원 영재캠프 실시
- 영천시, 집중호우 이후 농작물 관리 철저 당부
- [경북도 영상뉴스] 경북 22개 시군,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
- [의성군 영상뉴스] 의성군, 7월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지급 시작
- 남양주, “GTX·수소로 달린다”…100만 시동
- 이천시, “수도권 알프스”...말산업특구 자부심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마트, '넷제로 보고서' 발간⋯"온실가스 5300톤 감축"
- 2달성군,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 시작
- 3그늘진 곳에 햇살을, 김천 복지의 내일을 그리다
- 4주낙영 경주시장, 확대간부회의 주재…집중호우 피해·하반기 정책과제 점검
- 5본격 피서철 앞둔 포항시 해수욕장, 다양한 축제·문화 행사로 ‘활기’
- 6김천교육청, 2025 김천교육지원청부설 영재교육원 영재캠프 실시
- 7영천시, 집중호우 이후 농작물 관리 철저 당부
- 8경북 22개 시군,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지급
- 9의성군, 7월 21일부터 ‘민생회복 소비쿠폰’ 1차 신청·지급 시작
- 10“오처방·오남용으로 얼룩진 GLP-1 비만치료제… 적정 사용 위한 사회적 논의 필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