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악화 정유업계, 친환경 사업으로 체질개선
탄소중립 기조…‘지속가능항공유’ 사업 속도
SK이노, 2026년 울산공장에 생산설비 구축
에쓰오일, 바이오 원료 투입해 친환경 제품 판매

[앵커]
국내 정유사들의 실적발표가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수익성 악화가 현실화하는 모습입니다. 싱가포르 정제마진 약세에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재고평가손실 등으로 직격탄을 맞은 건데요. 정유사들은 친환경 사업에 속도를 내며 위기 속 기회를 찾는 분위깁니다. 윤혜림 기잡니다.
[기자]
정제마진 약세와 국제유가 하락으로 정유업계가 직격탄을 맞았습니다.
주요 정유사들의 지난해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절반 이상 급감한 상황.
정유업계는 글로벌 탄소중립 기조에 발맞춰 지속가능항공유(SAF) 사업에 힘을 주고 있습니다. SAF는 바이오 연료로 생산한 항공연료로, 기존 항공유 대비 탄소배출량을 최대 80%까지 줄일 수 있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환경규제가 강화되며 시장 성장 가능성도 큽니다.
SK이노베이션은 오는 2026년까지 울산 콤플렉스(CLX)에 SAF 생산설비를 구축합니다. 특히 지난 1월, 탱크터미널 사업을 인적분할해 설립한 SK엔텀을 100% 자회사로 편입하며 SAF 사업 확대를 통한 새로운 수익구조를 마련한다는 계획입니다.
GS칼텍스도 지난해 국내 최초로 대한항공과 바이오항공유 실증 추진 업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올해는 포스코인터내셔널과 공동으로 인도네시아 팜유 정제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입니다.
에쓰오일은 국내 정유사 중 최초로 정유 공정에 바이오 원료를 투입하는 코-프로세싱(Co-processing)을 시작했고, 앞으로 이런 친환경 제품을 판매를 본격화하겠단 방침입니다.
[싱크] 강경돈 / 에쓰오일 트래져러부 상무
“정부로부터 코-프로세싱을 위한 규제특례 승인을 획득하였고, 올해 1월 29일 바이오 원료 및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초도 물량을 당사 공정에 투입하기 시작했습니다. 국제적으로 공신력이 있는 친환경 제품 인증을 획득하고 친환경 제품의 판매를 본격화할 예정입니다”
HD현대오일뱅크도 2025년까지 SAF 공장을 짓고 연간 50만톤 규모의 생산 능력을 확보한다는 계획입니다.
정유업계는 올해 주요 산유국들이 추가감산에 합의해 지난해보단 업황이 좋아질 것으로 관측하면서도 석유사업 의존도를 낮추기 위한 신사업 찾기 노력은 지속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윤혜림입니다. /grace_rim@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가장 많이 늘어난 구간은 '26억 이상'
- 쿠팡 로켓배송, 인구감소지역 중소기업 성장 이끌어
- 포스코, 사우디 아람코 플랜트에 HIC 강재 첫 납품
- 대우건설, 천호동 532-2 일대 재개발사업 시공사로 선정
- 수도권·지방 격차 확대…전셋값 양극화 심화
- 상반기 LCC 국제선 탑승객, 대형항공사 3년 연속 추월
- LG유플러스, 한전과 맞손…1인가구 돌봄사업 지원
- 엘앤에프, 재무부담에도 ‘LFP’ 승부수 띄운 속내는?
- [김효진기자의 heavy?heavy!] “이스타항공 타고 도쿠시마 라멘 한 그릇 어떠세요”
- "살모넬라 식중독 5년간 8000명 육박…여름철 집중"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코스피 공매도 잔고 9조 돌파…3개월 새 2배 급증
- 2수성구 파동 지역사회보장협의체-한국마사회 대구지사, 지역 주민 복지 증진 위한 업무협약
- 3김한종 장성군수, 11개 읍·면 순회 '이장과의 소통 간담회' 진행
- 4장성군, 민생회복 소비쿠폰 사칭 '스미싱' 경고
- 5영덕군-박형수 국회의원, 2026년 국비 확보 정책협의
- 6대구 중구, 공공디자인 진흥계획 수립 착수…도심 경관 새 단장 나선다
- 7대구상수도사업본부, 달서구 일부지역 흐린 물 출수 예상
- 8대구교통공사, ‘2025년 노사문화 우수기업’ 선정
- 9올해 서울 아파트, 거래 가장 많이 늘어난 구간은 '26억 이상'
- 10금융위, 자본규제 개선…"주담대 죄고 벤처투자 문 푼다"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