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승하는 기업 대출 연체율…경고등 들어온 건전성

[앵커]
현재 금융 시장에서 가계 대출 뿐 아니라 기업 대출도 위험 요인입니다. 규모가 늘어난 것 뿐만 아니라 연체율도 증가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이런 상황에서 정부는 어제(15일) 76조원 기업 금융을 지원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업 재무 안정성도 우려스러운 상황에서 정부의 이번 지원 정책이 실효성이 있을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연아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가 급증하는 가계 대출을 줄이기 위해 제동을 걸면서, 시중 은행들은 기업 대출로 눈을 돌렸습니다.
가계 대출이 쉽지 않은 은행과 고금리, 고물가, 저성장 늪에 빠진 기업의 필요가 맞물리면서 기업 대출 규모는 빠르게 늘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4대 시중은행 국민·신한·하나·우리의 기업 대출은 640조원, 전년 대비 9%나 늘었습니다.
주요 은행별 기업 대출 규모를 보면 국민 175조1,573억원, 하나 162조46억원, 신한 160조6,834억원, 우리 142조5,460억원입니다. 금융기관 전체 기업 대출 규모 역시 전년 대비 증가했습니다.
일반 은행의 기업 대출 규모는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1,832조원으로 전년 대비 6.3% 증가했고, 저축은행, 상호금융, 보험회사 등 비은행 역시 591조원으로 전년 대비 5.6% 늘었습니다. 문제는 기업 대출 연체율입니다.
한국은행 보고서 내 기업 대출 연체율을 보면, 지난해 3분기 연체율은 1분기 대비 은행, 비은행 모두 상승했습니다. 특히 비은행 연체율은 4.23%로 급격한 상승폭을 보입니다.
여기에 중소기업 연체율 0.55%로 대기업 연체율 0.19%보다 배 이상 차이가 납니다.
기업 대출 연체율 상승은 기업의 재무 안정성 뿐 아니라 금융사의 건전성을 심각하게 훼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언제나 금융 시장의 큰 위험 요인이 돼왔습니다.
이런 가운데 정부가 어제(15일) 76조원 규모의 맞춤형 기업 금융 지원 방안을 발표하며, 기업 부양에 나섰습니다.
중견, 중소기업 대상 회사채 발행 지원과 저리 대출 프로그램 운영, 중견기업전용펀드 출시, 가산 금리 면제 등 지원책을 통한 자금 조달 통로를 만들겠다는 계획인데, 금융권이 기업 지원과 연체율 관리 등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을지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서울경제TV 이연아입니다. / yalee@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부산시민 절반가량 "박형준 시장, 시정운영 잘 못해"…부정 평가 46.6%
- 2韓 대행 "산불 이재민 일상 회복 때까지 모든 지원 아끼지 않을 것"
- 3'경북 산불' 사망자 2명 늘어…화마에 26명 목숨 잃어
- 4부산대 의대 "미등록자 내달 5일부터 제적 절차 진행"
- 5"소프트뱅크, 美에 AI로봇 산업단지 추진…1470조원 투자"
- 6안동·의성 산불, 부분 재발화…헬기 투입 진화작업
- 7中 부동산 침체에…블랙록, 상하이 빌딩 34% 할인해 매각
- 8美 국방 "한국 등과 억제력 구축…中에 전략적 딜레마 조성"
- 9美 3월 미시간대 소비심리 3개월째 급락…기대 인플레 5%로 상승
- 10가수 최자 개발 복분자주 ‘분자', 출시 반년만에 완판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