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업 역행하는 재계…주주가치 훼손 논란
'적자' 로보틱스에 '알짜' 밥캣 지분 싸게 넘겨
상장사 ‘주가’로 기업가치 환산…본질적 가치 의문
경제개혁연대 "주주 이익 아닌 그룹 이익 충실"
국회 '밥캣방지법' 발의…불공정 합병 방지해야

[앵커]
국내 재계에서는 기업들이 앞다퉈 리밸런싱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그룹 계열사간 합병을 통한 시너지에 방점을 찍고 있는데요. 문제는 지배주주 이익에 초점이 맞춰져 소액주주 권익 침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정부가 강조하는 밸류업 취지가 무색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혜영 기자입니다.
[기자]
재계 사업 재편 바람 속 주주가치 훼손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알짜 기업을 적자 기업과 합병해 지배주주 배만 불린다는 지적입니다.
대표적인 예시가 두산그룹입니다.
두산은 밥캣과 로보틱스 합병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관건은 합병 비율입니다.
두산밥캣과 두산로보틱스의 합병 비율은 1대 0.63,
밥캣 1주당 로보틱스 0.63주의 주식을 받는다는 의미입니다.
1조원대 영업이익을 내는 두산밥캣 보다 200억 영업손실을 내는 두산로보틱스의 가치가 더 크게 평가 받은 셈입니다.
두 기업의 지난해 매출은 180배가 넘게 차이 납니다.
실적으로 본 기업가치와는 정반대인데, 두산밥캣의 주주입장에선 날벼락입니다.
이는 현행 자본시장법 허점에 기인합니다.
비상장사는 자산·수익가치 등 다양한 요인을 기반으로 기업 가치를 평가하는데 반해, 상장사는 합병시 시가(주가)로 기업 가치를 환산합니다.
기업의 본질적 가치와 무관하게 합병가액이 결정될 수 있는 만큼 합법적 우회 통로인 셈입니다.
두산로보틱스는 실적과 무관하게, 연초 로봇주 테마 열풍에 힘입어 주가가 급등하며 고평가 논란이 일기도 했습니다.
경제개혁연대도 일반주주의 이익이 아닌 그룹 이익에 충실한 결정이라고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습니다.
이에, 국회에서는 계열사 간 합병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는 법안을 발의했습니다.
이른바 ‘두산밥캣방지법’입니다.
골자는 자산 가치와 수익 가치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합병가액을 결정하도록 하고,
투자자가 손해를 입으면 이사회 결의에 찬성한 이들이 연대해 손해배상 책임을 물도록 했습니다.
정부가 주주친화를 내세우며 밸류업 정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지만, 기업들의 합법적 약탈은 지속되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기자입니다.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우리 증권사로 주식 입고하세요" 고객 쟁탈전 치열
- 기업銀, 17년 만에 신용평가 모델 손질…건전성 관리 강화
- 한화생명금융서비스, GA 1위 굳히며 IPO 전열 재정비
- BNK금융 "하반기 지역상생·AI·건전경영 중점 추진"
- 이니텍, 바른과 KRWc 법률자문 계약…"스테이블코인 인프라 구축"
- 아이비젼웍스, '폴더블폰 소재 검사 시스템' 납품 완료
- BNK부산銀·주택금융공사, 커버드본드 지급보증 업무협약 체결
- 헝셩그룹 “플랫폼934, 中 콘텐츠 제작사와 파트너십 체결”
- BC카드, 여름철 맞이 다양한 할인 이벤트
- 한국산업은행, KDB 스마트 오션인프라 펀드 3호 사업 승인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시, "폭염도 재난" 시민 건강 보호 총력
- 2순창군, '찾아가는 지적재조사 현장사무소' 운영
- 3장수군, '조상땅 찾기 서비스'…군민 재산권 보호 앞장
- 4임실군, '화랑기 제46회 전국 시도 대항 양궁대회' 개최
- 5'2025 남원국제드론제전 with 로봇' D-100 카운트다운 돌입
- 6최경식 남원시장, 관내 23개 읍면동 직접 방문…'찾아가는 현장시장실' 개최
- 7서부지방산림청, 여름철 재난 대비 숲길 사업지 안전점검 실시
- 8한국수력원자력, 유럽 탄소중립 위한 청정수소 생산 기틀 마련
- 9영천예술창작스튜디오, 2025 대구문화예술회관 소장작품 순회展 ‘대구추상미술 하이라이트’ 개최
- 10"원전정책, 시민과 함께 만든다"… 경주시, 제4기 범시민대책위 출범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