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건설사 지난해 산업재해 1,868명"…사망자 25%↑
경제·산업
입력 2025-02-02 09:31:26
수정 2025-02-02 11:55:32
김보연 기자
0개
전년 대비 부상자 수 17.8%↓

[서울경제TV=김보연 기자] 지난해 시공능력 상위 20위 건설사의 공사 현장에서 발생한 사고로 다치거나 숨진 사람은 1,800여명으로, 이 중 사망자는 전년보다 25%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용갑 의원이 국토교통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의 시공 능력 평가 상위 20위 건설사들의 건설 현장 사고로 인한 사상자는 총 1,868명으로 조사됐다.
이는 정부 건설공사 종합정보망(CSI)에 등록된 사망 또는 3일 이상 휴업이 필요한 부상자 수와 1,000만원 이상 재산피해 사고 건수를 집계한 자료로, 시공사 등은 건설기술 진흥법에 따라 사고가 발생하면 즉시 CSI에 신고해야 한다.
지난해 사상자는 전년(2,0259명)보다는 17.3% 줄었지만 2년 전인 2022년(1,666명)과 비교하면 12.1% 늘었다. 사망자는 35명으로 전년(25명)보다 25.0% 증가했다. 부상자는 전년(2,231명)보다 17.8% 감소한 1,833명으로 나타났다.
건설사 중 지난해 현장에서 사망자가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대우건설로 모두 7명이 숨졌다. GS건설과 포스코이앤씨(각 5명), 현대건설(3명)이 뒤를 이었다.
사망 사고가 없었던 곳은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 호반건설, DL건설, 중흥토건 네 곳이었다. 다만 삼성물산은 다친 사람이 모두 273명으로 부상자가 가장 많았다. 이어 DL건설(172명), 현대건설·SK에코플랜트(각 141명), 현대엔지니어링(137명), 계룡건설(112명) 등의 순이었다.
이를 포함해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상위 20위 건설사들의 공사현장에서 발생한 사망자는 총 96명, 부상자는 5,697명으로 집계됐다. 이 기간 삼성물산(682명)과 현대건설(349명)은 사상자 수 기준으로 매년 나란히 1위와 2위를 유지했다.
지난해 공사 현장에서 1,000만원 이상 사고 피해가 발생한 곳은 삼성물산, 현대건설, 대우건설, DL이앤씨, 포스코이앤씨, SK에코플랜트, DL건설, 서희건설 8곳이었다.
박용갑 의원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건설 현장 사상자 수는 전혀 줄고 있지 않다"면서 "시행 3년이 지난 지금 처벌이 아닌 예방 위주로의 법 개정 논의와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 및 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지방 고급 주상복합 잘나가네”…지역 최상위 주거지 눈길
- SKT "알뜰폰 포함 2411만명 유심보호서비스…유심교체 104만"
- 시티그룹 CEO "관세 25% 넘으면 영향 심각"
- 1분기 종합건설업 등록 '역대 최저'…폐업, 14년만 최대
- 기아, 1분기 유럽 전기차 판매량 최다 기록…판매비중 20% 돌파
- '유심 해킹' SKT, 반년 전 정부 정보보호 심사 잇달아 통과
- 농경연 "5월 농산물값 안정세…배추 32%↓·대파 42%↓"
- 대기업 매출 GDP 80% 육박…5대 그룹 매출 40% 차지
- 강남권 아파트값 급등…전세가율은 역대 최저
- 트럼프 "의약품 관세 2주내 발표…약값 관련 큰 발표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홍익표 "K-민주주의, 선거제도 개혁 없으면 윤 정권 다시 만날 수 있다"
- 2보성군, 제103회 어린이날 행사 마무리
- 3서편제보성소리축제, 판소리 명창부 대통령상에 한단영 씨 수상
- 4경기도, 지역화폐 보안에 '안전 잠금'
- 5양주시, '목공'으로 청소년 진로 연다
- 6포천시, 드론 소부장 전략 본격화
- 7남원시의회 의원 5명, 우수의정상 수상…"시민대변 의정활동 인정받아"
- 8“지방 고급 주상복합 잘나가네”…지역 최상위 주거지 눈길
- 9광주시교육청, '세계 속 5·18' 홍보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
- 10영암 우수 농특산물, 광주 상생한마당 직거래 장터 선보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