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일 16.9% 올라…"장보기 횟수 줄이고 싼 것만"

경제·산업 입력 2025-02-02 11:41:13 수정 2025-02-02 11:41:13 김보연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고물가에 '장바구니'도 위축
지난해 대형마트·슈퍼 구매 건수·단가 모두 감소
백화점 구매단가는 1.4% 증가…"소비 양극화"

[사진=롯데마트]

[서울경제TV=김보연 기자] 지난해 소비자물가가 3%대 초중반으로 오르면서 코로나19가 한창이던 지난 2021년 이후 3년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먹거리를 중심으로 장바구니 물가가 그 어느때보다 크게 오른 것이다. 

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쌀을 포함한 곡물의 지난해 소비자물가지수는 102.63으로 전년(99.34) 대비 3.3% 상승했다. 지난해 채소의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은 8.2%로 2020년 이래 상승 폭이 가장 컸고 과일(16.9%↑)은 2004년 이래 20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전방위적인 물가 상승으로 소비자들의 장보기 패턴도 크게 달라졌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공개한 지난해 대형마트의 월별 구매 건수·단가를 보면 대부분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설 명절을 앞둔 1월과 나들이 철이 절정에 이른 4∼5월, 여름 휴가철이 시작되는 7월, 추석 명절이 있는 9∼10월, 연말 대목인 12월 모두 구매 건수와 구매단가가 동반 감소했다. 2023년 구매 건수와 구매단가가 함께 감소한 달이 1월과 8월, 10월 석 달에 불과했던 것과 대비된다.

구매 건수 추이만 보면 2023년에는 두 달만 전년 대비 감소세를 보였으나 지난해엔 그 수가 일곱 달로 크게 늘었다. 연간 평균 구매단가도 5만95원에서 4만9,966원으로 0.3% 줄었다. 고물가에 부담을 느낀 소비자들이 장보기 횟수를 줄이고 싼 것만 샀다고 볼 수 있는 통계 수치다. 

특히 물가가 오르는 상황에서 구매단가마저 내려갔다면 장바구니에 담을 수 있는 물품 수도 그만큼 줄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대형마트 한 관계자는 "지난해 핵심 소비 키워드로 '가성비'(가격 대비 품질)가 언급될 정도로 소비자들의 가격 민감도가 컸다"고 짚었다.

대형마트와 함께 양대 장바구니 채널로 꼽히는 기업형 슈퍼마켓(SSM)도 비슷한 경향성을 보인다. 지난해 SSM의 구매 건수는 월별로 모두 전년 대비 증가한 데 반해 구매단가는 7개월이나 감소했다.

연간 평균 구매단가는 1만7,042원으로 대형마트와 마찬가지로 전년(1만7,126원보다 0.5% 감소했다. 업계는 고물가 영향으로 거주지 가까운 슈퍼에서 소용량·소포장 상품을 자주 구매했으나 그만큼 단가는 감소한 것으로 해석한다.

눈에 띄는 것은 백화점 소비가 늘어났다는 점이다. 지난해 연간 기준으로 백화점의 1인당 구매단가는 12만6,845원으로 전년(12만5,037원)보다 1.4% 증가했다. 주요 유통업 가운데 유일한 증가세다.

업계에선 이를 소비 양극화의 한 단면으로 해석한다. 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백화점에서 1인당 구매단가가 높아진 것은 불황에 일반 소비자들이 허리띠를 졸라매는 와중에도 고가 제품에 아낌 없이 지갑을 여는 소비층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이라며 "이러한 현상은 올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boyeo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김보연 기자

boyeon@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