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업계 실적 ‘희비’…‘NK’ 2강 구도 재편
경제·산업
입력 2025-02-14 17:27:56
수정 2025-02-14 18:57:43
이수빈 기자
0개
![](/data/sentv/image/2025/02/14/sentv20250214000181.800x.0.jpg?v=634565)
국내 게임업계가 잇달아 지난해 실적을 내놓고 있는 가운데, 극명한 실적 차이를 보이며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엔씨소프트는 상장 후 처음 연간 적자를 낸 반면 크래프톤은 사상 처음 영업이익 1조 원을 돌파했는데요. 게임시장 호실적을 이끈 ‘3N(넥슨·엔씨소프트·넷마블)’ 3강 체제에 균열이 생기면서 ‘NK(넥슨·크래프톤)’ 2강 구도로 게임업계가 재편되는 모습입니다. 이수빈 기잡니다.
[기자]
지난해 실적을 받아든 게임사들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습니다.
해외 시장에서 신작 흥행 유무에 따라 실적이 갈렸습니다.
국내 게임업계는 넥슨과 크래프톤을 중심으로 한 ‘NK’ 2강 구도로 재편되는 모습입니다.
넥슨은 국내 게임업계 최초로 매출 4조원 클럽에 진입했습니다.
넥슨의 지난해 연간 매출은 4조91억원, 영업이익은 1조1157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해 5월 중국 시장에 선보인 ‘던전앤파이터 모바일’이 인기를 끌며 해외 매출 상승을 이끌었다는 분석입니다.
크래프톤도 창사 이래 최고 실적을 냈습니다.
크래프톤은 지난해 매출 2조7098억원, 영업이익 1조3026억원을 기록해, 영업이익에서는 넥슨을 뛰어넘는 성과를 기록했습니다.
인도 시장에 출시한 ‘배틀그라운드 모바일 인디아’가 현지에서 흥행하며 실적을 견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넷마블은 2022년부터 이어져온 적자를 청산하고 반등에 성공했습니다.
넷마블의 지난해 매출은 2조6638억원, 영업이익은 2156억원을 기록했습니다.
지난 2022년부터 적자를 면치못했던 넷마블이 흑자전환할 수 있었던 일등공신은 '나 혼자만 레벨업: 어라이즈'.
국내에 이어 해외에서도 깜짝 흥행이 이어지면서 실적 반등을 이끌었다는 평가입니다.
반면 국내 매출 비중이 큰 엔씨소프트는 상장 이후 처음으로 연간 실적에서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엔씨는 작년 매출 1조5781억원, 영업손실 1092억원을 낸 겁니다.
지난해 대규모 분사와 희망퇴직으로 인한 일회성 비용이 증가한데다, 신작 부진이 겹치면서 실적 악화로 이어진 겁니다.
게임시장 호실적을 이끈 ‘3N(넥슨·엔씨소프트·넷마블)’ 시대에서 넥슨과 크래프톤 중심의 ‘NK’ 2강 구도로 굳혀지는 모습입니다.
서울경제TV 이수빈입니다. /q00006@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트럼프·머스크, 美공무원 1만명 해고…수습부터 잘랐다
- 오픈AI "머스크 '140조원 인수' 제안 만장일치 거부"
- 이재명 "상속세 때문에 집 팔고 떠나지 않게 하겠다"
- 딥시크, 정책 일부 변경…개인정보 보관은 그대로
- 트럼프, 캐나다·프랑스에 '테크 과세' 정조준
- 트럼프 압박에 TSMC도 움찔…"인텔 美공장 인수 고려"
- 일본 상장기업 지난해 4∼12월 순익 15%↑…임금 인상 영향
- 오늘 조태열-루비오 독일서 첫 한미 외교회담
- 이재명 국민소환제 제안에 '주민소환제'에 쏠리는 관심…성공률 1.36%
- 워런 버핏의 버크셔, 애플 매도 멈추고 은행주는 또 팔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트럼프·머스크, 美공무원 1만명 해고…수습부터 잘랐다
- 2오픈AI "머스크 '140조원 인수' 제안 만장일치 거부"
- 3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49재 합동위령제 거행
- 4이재명 "상속세 때문에 집 팔고 떠나지 않게 하겠다"
- 5딥시크, 정책 일부 변경…개인정보 보관은 그대로
- 6트럼프, 캐나다·프랑스에 '테크 과세' 정조준
- 7트럼프 압박에 TSMC도 움찔…"인텔 美공장 인수 고려"
- 8일본 상장기업 지난해 4∼12월 순익 15%↑…임금 인상 영향
- 9오늘 조태열-루비오 독일서 첫 한미 외교회담
- 10이재명 국민소환제 제안에 '주민소환제'에 쏠리는 관심…성공률 1.36%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