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변방에서 주류로…"동유럽이 뜬다"
워호스 스튜디오·CDPR 등 개발사 신작 흥행
엔씨·크래프톤 등 국내 기업 동유럽 시장 눈독
![](/data/sentv/image/2025/02/14/sentv20250214000156.800x.0.jpg?v=492568)
[서울경제TV=이수빈 기자] 북미와 서유럽, 일본 게임사들이 주도하던 글로벌 PC·콘솔 게임 시장에서 변방에 머물렀던 동유럽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신작 흥행이 이어지는 한편 동유럽 시장을 눈여겨본 국내 게임사들의 투자도 이어지는 추세다.
◇체코·폴란드까지 동유럽 개발사 깜짝 선전
우선 동유럽 개발사들의 신작이 유저들로부터 연달아 호평을 받으며 흥행에 성공하고 있는 모습이다.
PC 게임 플랫폼 스팀 통계 사이트 '스팀DB'에 따르면 5일 출시된 체코 게임사 워호스 스튜디오의 '킹덤 컴: 딜리버런스 2'는 지난 7일 기준 18만5000명의 최고 동시 접속자를 기록했다. 워호스 스튜디오에 따르면 킹덤 컴 2는 출시 하루 만에 전 세계에서 100만 장이 팔리며 전작을 뛰어넘는 수준의 흥행에 성공했다.
이용자들은 판타지 요소 없이도 유럽 중세 시대 역사와 생활상을 몰입감 있게 그려낸 게임플레이, 높은 그래픽 품질과 비교적 사양이 낮은 기기에서도 원활히 구동되는 최적화 수준 등에 호평을 보내고 있다. 워호스 스튜디오는 직원 수 200명 안팎의 중소 개발사로, 킹덤 컴 2 흥행을 계기로 라인업 확장에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폴란드 게임사 CD 프로젝트 레드(CDPR)는 역할수행게임(RPG) '더 위쳐' 시리즈와 공상과학(SF) 게임 '사이버펑크 2077' 등으로 유명하다. 두 히트작 모두 넷플릭스에서 드라마와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졌다. CDPR의 더 위쳐 3: 와일드 헌트는 2015년 출시돼 그해 더 게임 어워드(TGA)를 비롯한 국제 시상식을 휩쓸었고, 지난해에는 정식 후속 차기작인 위쳐 4를 공개해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2020년 출시한 '사이버펑크 2077'도 출시 초기 부족한 완성도와 과장 광고 논란으로 홍역을 치렀지만, 꾸준한 업데이트와 콘텐츠 추가로 2023년 스토리 확장 다운로드 가능 콘텐츠(DLC)가 발매됐다.
폴란드 게임사 11비트 스튜디오도 '디스 워 오브 마인'과 '프로스트펑크' 시리즈로 글로벌 인디게임 업계에서 호평을 받았다. 두 게임 모두 극한 상황에서 플레이어의 선택을 중시하는 게임성과 다회차 플레이를 강조하는 시뮬레이션 요소 등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작년 출시된 '프로스트펑크 2'도 PC 플랫폼에서 인기 게임 반열에 올랐고, 모바일 버전 '프로스트펑크: 비욘드 더 아이스'는 한국 게임사 컴투스가 전 세계에 퍼블리싱한 바 있다.
그간 큰 히트작을 내지 못했던 동유럽 게임사들의 신작이 자국 시장은 물론 글로벌 시장에서도 반응을 얻기 시작하면서 전세계 업계 관심이 쏠리는 모습이다.
![](/data/sentv/image/2025/02/14/sentv20250214000158.600x.0.jpg?v=191992)
◇한국도 동유럽 게임 시장 '주목'…투자 나서기도
한국 게임사들도 동유럽 게임 시장을 눈여겨보고 투자를 이어오고 있다.
엔씨소프트는 지난해 폴란드 게임사 '버추얼 알케미'가 개발 중인 신작 '밴드 오브 크루세이더'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을 체결했다. 엔씨는 밴드 오브 크루세이더 글로벌 판권을 확보해 게임 산업의 신흥 지역인 동유럽에 진출할 교두보를 마련할 계획이다.
계약 체결 당시 엔씨는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지역, 장르, 플랫폼 확장 등을 고려해 국내‧외 적극적으로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며 “새롭게 확보한 신규 지식재산(IP)을 통해 글로벌 파이프 라인을 확대하고 글로벌 이용자 분들께 완성도 높은 게임을 선보이겠다”고 밝힌 바 있다.
![](/data/sentv/image/2025/02/14/sentv20250214000164.600x.0.png?v=451731)
네오위즈는 앞서 언급한 CDPR과 11비트 스튜디오 출신 개발자로 구성된 폴란드 게임사 '자카자네'에 투자했으며 크래프톤 역시 2023년 폴란드 게임사 '피플 캔 플라이' 지분 10%를 인수한 바 있다.
잠재력이 큰데다 낮은 개발 비용으로 투자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동유럽 시장 진출에 국내 게임업계도 눈독을 들이는 모습이다.
◇"북미·서유럽 게임 식상"…독특한 동유럽 게임 눈길
동유럽 게임업계의 약진은 높은 퀄리티도 있지만, 이용자들이 기존 북미·서유럽 게임에 대해 느끼는 피로감 역시 한몫한다.
피로감의 원천은 노골적으로 추가 유료 상품 구매를 권유하는 라이브 서비스 위주 운영, 게임의 분위기를 해칠 정도로 과도한 성소수자·다인종 코드에 집착하는 다양성·포용(DEI) 정책 때문이다.
앞서 언급한 동유럽 게임들은 이런 풍조와 정반대로 라이브 서비스보다는 싱글플레이 게임의 풍부한 경험에 집중하고, DEI 요소를 어색하게 욱여넣기보다는 세계관과 서사의 몰입감에 집중하는 경향이 강하다.
국내 한 게임사 관계자는 "회사 규모가 커질수록 기존 작품을 답습하고 분위기를 '무국적화'하는 안전한 길을 택하기 마련인데, 그 반동으로 동유럽 게임사들의 자국 색채가 담긴 독특한 게임이 주목받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스팀 같은 디지털 게임 유통망이 발달하면서 작은 게임사나 퍼블리셔도 얼마든지 전 세계에 게임을 판매할 수 있게 된 환경도 한몫했다"고 덧붙였다.
게임업계의 상대적인 후발 주자인 동유럽 게임의 부상은 뒤늦게 PC·콘솔 시장 공략에 뛰어든 한국 게임업계에도 시사하는 바가 크다는 분석이 나온다. /q00006@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닛산, 혼다와 ’합병 무산’…대만 폭스콘과 손 잡을까
- 고속道 설계에 ‘가치공학’ 도입…“정체 줄이고 안전성 높인다”
- LGU+, AI 비서 '익시오' 유료화…AI 수익화 방점
- 빵·과자·커피 가격 줄줄이 인상…원가 상승·고환율 여파
- "저렴한 취미는 옛말"…고물가·고환율 여파에 게임도 비싼 취미로
- K조선, 올해 1월 선박수주 中 제치고 1위…전체 발주량은 줄어
- 美 트럼프 관세 폭탄에 車 업계 직격탄…"가격 919만원 오를수도"
- EU 車도 관세 오르나 ‘촉각’…韓 반사이익 ‘기대감’
- 화장품 세트, 제품 중 가장 빠른 사용기한만 표시
- 국내외 방송가 '딥시크 주의보'…"AI 보안 강화 움직임"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트럼프·머스크, 美공무원 1만명 해고…수습부터 잘랐다
- 2오픈AI "머스크 '140조원 인수' 제안 만장일치 거부"
- 3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49재 합동위령제 거행
- 4이재명 "상속세 때문에 집 팔고 떠나지 않게 하겠다"
- 5딥시크, 정책 일부 변경…개인정보 보관은 그대로
- 6트럼프, 캐나다·프랑스에 '테크 과세' 정조준
- 7트럼프 압박에 TSMC도 움찔…"인텔 美공장 인수 고려"
- 8일본 상장기업 지난해 4∼12월 순익 15%↑…임금 인상 영향
- 9오늘 조태열-루비오 독일서 첫 한미 외교회담
- 10이재명 국민소환제 제안에 '주민소환제'에 쏠리는 관심…성공률 1.36%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