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그레 김광수號, 대내외 어려움 속 '돌파구' 박차
경제·산업
입력 2025-07-10 19:40:52
수정 2025-07-14 15:24:47
이혜연 기자
0개

[앵커]
빙그레가 올해 들어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가운데, 다음 달부터 미국이 한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수출 전략에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지난달 새롭게 취임한 김광수 대표이사는 부진한 실적과 대외 악재라는 이중 과제를 떠안게 됐습니다. 이혜연 기잡니다.
[기자]
빙그레의 새 수장이 된 김광수 대표이사 부회장.
지난달 취임과 동시에 실적 부진과 대외 변수라는 중대한 과제를 마주하게 됐습니다.
빙그레의 1분기 영업이익은 135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6.1%나 줄었습니다.
국내 아이스크림 시장의 성장 정체와 원가 부담이 겹치면서 실적 하락세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
빙그레는 이를 만회하기 위해 해외 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입니다.
특히 미국은 지난 2020년 본격적인 진출에 나서며 현재 약 500억원 규모의 매출을 기록 중인 만큼 빙그레의 최대 수출 시장입니다.
하지만 다음 달부터 미국 정부가 한국산 제품에 25%의 상호관세를 부과할 것으로 예상되면서 상황은 한층 더 복잡해졌습니다.
빙그레는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방식의 일부 현지 생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제품을 국내에서 만들어 수출하고 있어 관세가 현실화되면 가격 경쟁력이 약화될 전망입니다.
특히 대표 제품인 ‘바나나맛우유’와 ‘메로나’ 등은 가격 민감도가 높은 유통채널에서 판매되기 때문에 관세 인상분을 소비자 가격에 전가하기 어려운 구조입니다.
이번 관세가 장기화될 경우 현지 생산 확대나 유통망 재조정 같은 근본적인 전략 수정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빙그레는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 1조4630억원, 영업이익 1313억원으로 역대 최대 실적을 기록했는데, 불과 1년 만에 대내외 악재가 겹치며 실적 반등에 제동이 걸린 상황.
10년 넘게 계열사 ‘제때’를 이끌다 그룹 핵심 계열사인 빙그레의 수장을 맡은 김광수 대표가 첫 해부터 예고 없이 찾아온 위기를 맞은 가운데, 경영 전략의 유연성과 위기 대응 능력이 시험대에 오르게 됐습니다.
서울경제TV 이혜연입니다. /hy2ee@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LVE, 전제품 ISCC PLUS 국제 인증 획득
- [IAA 2025] “뮌헨 거리가 전시장 됐다”…길에서 만난 미래차
- 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500일 기념 3종 이벤트 진행
- 샘플창고, '대형 메가샘플'로 자재 선택 새로운 기준 제시
- 커넥트밸류, AI 기반 모듈형 직무교육 플랫폼 개발 본격화
- 메빅스, 에버랜드 가을 축제 '프르젝션 맵핑 파트너'로 참여
- 신라면세점, 보이그룹 엔싸인 모델 발탁…MZ세대 공략
- 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개발 완료…양산 체제 구축
- LS일렉트릭,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 산업부, 전력망 중앙·지방 협의체 첫 회의…"경제 성장 대동맥 구축"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LVE, 전제품 ISCC PLUS 국제 인증 획득
- 2부산교육연수원, 초등교원 한글 지도 역량 높인다
- 3부산도시공사, 하반기 신규 직원 7명 공채 진행
- 4“뮌헨 거리가 전시장 됐다”…길에서 만난 미래차
- 5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500일 기념 3종 이벤트 진행
- 6CJ, 올리브영 매출 성장 기대…목표가↑-대신
- 7샘플창고, '대형 메가샘플'로 자재 선택 새로운 기준 제시
- 8커넥트밸류, AI 기반 모듈형 직무교육 플랫폼 개발 본격화
- 9"휴머노이드 로봇 성장기…아이텍, 반도체 칩 테스트 SW 설계력 주목"
- 10메빅스, 에버랜드 가을 축제 '프르젝션 맵핑 파트너'로 참여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