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금융·대부 대출 100조 돌파…취약층 ‘경고등’ 켜졌다

[앵커]
올해 제2금융권과 대부업체가 내준 신용대출이 100조원을 넘어섰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빚이 불어난 상태에서 대출금리도 높아지고 있다는 건데요. 금리 인상 기조 속 다중채무자 등 금융 취약계층들이 느끼는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김미현기자입니다.
[기자]
올해 9월 말 기준 저축은행과 카드사 등 제2금융권의 신용대출 잔액은 99조218억원. 지난 연말 대비 5조원 가까이 늘었습니다.
제도권 금융의 마지노선이라고 불리는 대부업권 대출잔액도 증가했습니다.
금융감독원 실태조사 결과, 올해 6월 말 대부업권 대출잔액은 15조8,764억원으로 지난 연말보다 1조2,355억원 늘었습니다.
문제는 제2금융권과 대부 업권의 주 고객층이 상환 능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취약 차주라는 점입니다. 특히 내년 기준금리가 한두 차례 또 오르면, 이들의 충격은 더 클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평균 14%에 달하는 신용대출 금리가 더 오르는 것도 문제이지만, 신용도가 낮은 고객은 아예 대출이 막힐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싱크] 신용상 /금융연구원 금융리스크연구센터장
“기존 대부업권이나 캐피탈 쪽, 저축은행 쪽에서 기존 대출자들이 만기된 이후 다시 차환할 때 굉장히 높은 금리를 적용받든지 아니면 차환을 안 해주는 상황에 직면할 수 있어요. 부실위험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이어서 역마진 발생 우려 때문에”
게다가 변동금리가 대부분 적용되는 신용대출은 낮은 고정금리로 바꿔주는 금융지원 대책을 마련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
우선 금융당국은 취약 개인채무자의 연체된 개인채권을 사들이는 펀드 운영 기간을 내년 말까지 연장하고, 낮은 금리의 서민금융상품 대출 한도를 늘리기로 했습니다.
경기 침체 경고음마저 커지는 가운데, 생계형 금융 취약계층에 대한 더 세밀하고 적극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서울경제TV 김미현입니다. / kmh23@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케이지에이, 평택 신공장 준공…내달 말 입주 예정
- 인포스탁, '맞춤형 ETF투자정보서비스' 선봬…ETF 80개 테마로 분류
- 이찬진 금감원장 "'삼성생명 일탈회계' 논란, 국제기준 맞춰야"
- 엔바이오니아, '메타아라미드페이퍼 제조기술' 대한 국가핵심전략기술 획득
- IBK기업은행,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서비스' 제휴사 확대
- 신한은행, 21일 '오락실 적금' 사전예약 접수 시작
- KB국민카드, 국내 여전사 최초 '지속가능연계 신디케이트 론 조달' 성공
- 하나은행, '다이렉트 해외송금' 서비스 인도네시아로 확대 시행
- SK하이닉스, 닷새째 오르며 첫 50만원 돌파
- 유안타증권, VIP 초청 자선 프로암대회 성황리 개최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케이지에이, 평택 신공장 준공…내달 말 입주 예정
- 2완도군, SNS 대상서 2년 연속 ‘최우수상’…소통 콘텐츠 우수성 인정
- 3인포스탁, '맞춤형 ETF투자정보서비스' 선봬…ETF 80개 테마로 분류
- 4CGV, 콘텐츠진흥원과 K애니메이션 활성화 MOU 체결
- 5이찬진 금감원장 "'삼성생명 일탈회계' 논란, 국제기준 맞춰야"
- 6롯데칠성, '재생 플라스틱 원료 100%' 칠성사이다 출시
- 7넥슨재단, 발달장애 청년 자립 지원하는 ‘푸르메 낭만 팝업 in 성수’ 진행
- 8육수당, 시그니처 메뉴 '서울식 얼큰 국밥' 업그레이드 출시
- 9엔바이오니아, '메타아라미드페이퍼 제조기술' 대한 국가핵심전략기술 획득
- 10IBK기업은행, 퇴직연금 '로보어드바이저 일임서비스' 제휴사 확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