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돌려막기 한계치 왔나"… '위험 신호' 나온 카드 연체율

[앵커]
지난해부터 시작된 카드 연체율이 점차 급등세를 보여 왔는데요. 최근에는 서민들의 급전창구로 불리는 카드론 연체에 이어 리볼빙 잔액까지 빠르게 늘고 있어 이른바 '돌려막기' 한계치에 온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옵니다. 김도하 기자입니다.
[기자]
신용카드 연체가 빠른 증가 양상을 띠고 있습니다. 지난해 3분기말 기준으로 2조 7,000억 원까지 치솟았는데 1년 전 같은 기간과 비교해 53.1%는 증가한 규몹니다.
캐피탈사의 연체 상황은 더 우려스럽습니다. 같은 기간 금융감독원 금융통계정보시스템에서 집계한 국내 캐피탈사 51곳의 연체액은 3조 998억 원. 업계 대출 연체가 3조 원을 넘어선건 2003년 이후 20년 만입니다.
서민들의 급전창구인 카드론은 경고음이 더 요란해졌습니다. 지난해 8월 기준으로 8개 전업카드사의 카드론 연체율은 2.26%. 2022년에서 1년간 증가율은 0.2% 수준에 불과한 반면, 6월 이후에는 두 달 만에 0.64% 포인트나 치솟았습니다.
연체 문제를 심각하게 봐야 하는 지점은 '리볼빙'입니다. 지난해 3분기말 기준으로 리볼빙 7조 원을 넘어섰는데 2021년(6조 원) 기준으로 불과 2년 만에 1조 원이나 늘렸습니다.
여기에 카드론을 연체한 사람이 다시 대출받아 카드론을 상환하는 '카드론 대환대출' 잔액도 1년 만에 50%나 치솟은 1조 5,960억 원을 기록했고 은행계 신용카드 대출 연체율도 2.8%로 3%에 근접했습니다.
심각성을 더한 것은 지난해 4분기는 집계 전인데 3분기 급증 흐름을 보면 4분기 역시 전년보다 40~50%가량 더 치솟았을 것으로 예측됩니다.
[싱크] 서지용 / 상명대 경영학과 교수
"카드비 문제가 계속 사회 이슈가 될 가능성이 있고요. 지금이라도 신용카드 이용할 때 차주별 DSR 한도를 좀 완화하거나 한시적으로 규제를 좀 해제하는 게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고물가와 고금리 상황이 올해도 이어지는 걸 고려하면 올 금융시장에서 카드연체율이 새로운 리스크로 부상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KB캐피탈, 5년 만에 3억 달러 규모 글로벌 외화채권 발행
- 네이버파이낸셜, 두나무 품고 나스닥으로?...'금가분리' 변수
- "80조 프로젝트" 우리금융 임종룡…연임 행보 나섰나
- '고위험·고수익' 지적당한 한투證…신용등급 강등
- SK증권, 임직원·가족과 환경 캠페인 '행복나눔 숲 가꾸기' 전개
- LS증권, '2025 하반기 신입사원 공개채용' 실시
- 한투證, 손익차등형 '한국밸류 라이프 V파워펀드' 1012억원 설정 완료
- NH투자증권, '패밀리 오피스 가입 고객' 대상 세미나 개최
- 신한은행, 강원도 홍천군서 ‘신한 SOL방울 FOREST’ 기공식 개최
- 네이버페이, 영세·중소 사업자 '온라인 결제 수수료' 추가 인하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원 춘향폐차장, 추석맞이 도토리묵 86팩 기탁
- 2남원시, 농악·무용·공예 어우러진 10월 문화의 달 행사 마련
- 3남원시 웹툰 '향단뎐', 500만 독자 열광…시즌2 10월 연재 시작
- 4KB캐피탈, 5년 만에 3억 달러 규모 글로벌 외화채권 발행
- 5남원 피오리움, 가을맞이 '어텀패스' 무료·할인 혜택 풍성
- 6남원시, 5년 만에 일자리대상 최우수상 영예
- 7남원보호관찰소, 추석 앞두고 사랑 나눔·범죄예방 캠페인 펼쳐
- 8'국화향 가득한 오후'…국립민속국악원, 가을 토요공연 6회 선보여
- 9지리산 가을 정취 만끽…'2025 지리산 걷기축제' 10월 18일 개최
- 10순창군, 공설추모공원 조성 탄력…봉안당 국도비 12억 확보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