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하자 '기능 불량' 최다…"AI로 하자 관리"
경제·산업
입력 2024-10-15 19:25:57
수정 2024-10-15 19:25:57
이지영 기자
0개

[앵커]
오늘(15일) 정부가 공동주택을 지을 때 하자를 많이 낸 건설사 상위 20개 명단을 공개했습니다. 최근 6개월간 하자 건수가 가장 많은 건설사는 현대엔지니어링이었고, 지난 5년간 하자 판정 1위는 GS건설이었는데요. 건설사의 자발적인 품질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이지영 기잡니다.
[기자]
오늘(15일) 국토부가 공동주택 하자 판정 건수 상위 상위 20개 건설사 명단을 발표했습니다.
최근 6개월간 하자를 가장 많이 낸 건설사는 현대엔지니어링으로 나타났습니다.
포스코이앤씨와 대우건설, 현대건설도 20위 안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최근 5년간으로 범위를 넓혀 살펴보면 10대 건설사들의 이름이 대거 들어가 있습니다.
하자로 인정된 주요 유형을 살펴보면 기능 불량(14.01%), 들뜸 및 탈락(12.1%), 균열(10.7%), 결로(8.4%), 누수(7.8%), 오염 및 변색(7.3%)이 가장 많았습니다.
실제 현대엔지니어링이 낸 하자 118건은 1,000세대가 넘는 한 주택 단지에서 모두 나온 건데, 하자 이유는 '창틀 모헤어 짧음'이었습니다.
건설사들의 자발적인 품질개선 노력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인공지능(AI)을 접목한 첨단 기술이 눈길을 끌고 있습니다.
롯데건설의 경우 내년부터 상용 예정인 AI 단열 설계 검토 프로그램 '인스캐너'를 개발했습니다.
AI가 단열재 누락 및 미비로 인한 결로, 곰팡이 등의 하자를 잡아내는 겁니다.
또, 건축 단계별 변경되는 설계상의 오류를 지속적으로 체크해 설계의 오류도 확인합니다.
건물 외벽의 하자를 잡아내기 위해 'AI 드론'도 사용되고 있습니다.
롯데건설, 포스코이앤씨, DL이앤씨는 건설 현장에 AI 드론을 활용해 건물 외벽 등에 생긴 균열을 검출해 보수가 필요한 부분을 찾아내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지영입니다. /easy@sedaily.com
[영상편집 이한얼]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배스킨라빈스, 배달전용 가격제 도입…최대 12.5%↑
- ‘수평’ 내세운 카카오…직원 예식장 동원 논란
- [부고] 장영보(미디어윌 그룹 대표이사)씨 모친상
- 현대차, 러시아 재진출?…2년만 상표 재등록 ‘주목’
- “내년 1000명 일 못할 수도”…LG화학, 분리막 사업 철수?
- DL이앤씨, 980억 안전투자에도…진해신항 사망사고
- CJ그룹, 실적 부진 속 리더십 개편…‘재도약’ 시험대
- SK하이닉스, ‘AI 반도체’ 판 키운다…“600兆 투입”
- 태광그룹 4개 계열사, 민관합동 지진 대피 훈련 실시
- 리베이션, '서울디자인어워드' 본상…지속가능 디자인 경쟁력 입증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우재준 의원 “지자체 임차 산불헬기 10대 중 9대 ‘노후 기체’…국가 차원 안전 관리·국비 지원 의무화하는 ‘정궁호법’ 발의할 것”
- 2대구대, 예비 신입생과 재학생 위한 전공박람회 개최
- 3경북테크노파크, ‘재사용전지 안전성검사기관’으로 지정 받아
- 4경상북도교육청정보센터, 평산초등학교와 함께하는 시 콘서트 성료
- 5대구행복진흥원 이동형쉼터, 청소년 5만3731명에 긴급서비스
- 6대구상수도사업본부, 대구 북구 일부 지역 흐린 물 출수 예상 안내
- 7대구도시개발공사, 사과농가 일손돕기 및 지역 농산물 판촉 추진
- 8대구교통공사, 어르신 ‘장수사진 촬영’ 행사 개최
- 9영남이공대학교, 지역 진로진학센터와 교육협력 협약 체결
- 10영덕군, 서울관광재단과 지역관광 상생 업무협약 체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