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투증권 "관세로 반도체 공급망 美 중심 개편 가능성 낮아"

금융·증권 입력 2025-04-07 09:23:21 수정 2025-04-07 09:23:21 김수윤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트럼프 관세, 실질적으론 美기업·소비자에 부담"

도널드 트럼프(왼쪽)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일(현지시간)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행정명령 서명식 중 하워드 루트닉 상무 장관과 차트를 설명하고 있다.[사진=뉴스1]

[서울경제TV=김수윤 인턴기자] 한국투자증권은 "관세 부과로 인해 반도체 생산 시설 및 공급망이 미국 중심으로 재편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7일 분석했다.

채민숙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은 자국 보호를 명분으로 하나, 반도체 공급망 구조와 생산 거점을 고려할 때 실질적으로 미국 기업과 소비자에게 더 큰 부담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짚었다.

그는 "글로벌 반도체 공급망은 장기간에 걸쳐 미국 외 지역, 특히 아시아를 중심으로 구축돼 왔으며, 미국 내 생산은 경제성 측면에서 기업들에 현실적인 선택지가 되기 어렵다"며 "기업은 관세 부담을 가격에 반영하거나 마진 축소를 감내해야 하는 이중고에 직면하게 된다"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그는 "애플과 같은 일부 미국 기업이 트럼프 1기 때와 마찬가지로 다시 예외 대상으로 지정될 경우, 삼성전자와 같은 글로벌 경쟁사들은 가격 전가가 불가능해져 추가적인 역차별을 겪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다만 그는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과의 AI(인공지능) 군비 경쟁 국면에서 반도체 관세 부과가 자국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할 수 있다고 판단할 경우, 추가적인 관세 완화 조치를 단행할 가능성도 있다"고 짚었다.

예를 들어 그는 "AI 서버의 경우 반도체를 포함한 대부분의 부품이 아시아에서 조달되고 개별 부품에 대한 품목관세 또는 상호관세에 더해 완제품인 AI 서버 자체에도 상호관세가 부과된다"며 "서버를 구매하는 기업 입장에서 AI 서버 구매에 따른 비용 부담이 크게 확대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는 "단기적으로 변동성 확대는 피할 수 없으나 관세 정책의 향방을 지켜볼 필요는 있을 것"이라면서 반도체 업종에 대한 투자 의견 '비중 확대'를 유지했다.

종목별 목표주가는 삼성전자의 경우 7만8000원, SK하이닉스는 32만원을 각각 유지했다. 
/suyu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