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상장사 현금배당 30조…시가배당률 3.05%로 5년래 최고
금융·증권
입력 2025-04-19 08:00:08
수정 2025-04-19 08:00:08
김수윤 기자
0개
지난해 현금 배당금, 1년전보다 3조원 증가
[서울경제TV=김수윤 인턴기자]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 상장사들이 지난해 결산을 통해 지급한 현금 배당금이 1년 전보다 3조원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가배당률도 5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19일 한국거래소는 유가증권시장 12월 결산 법인 807개사 중 565개사(70%)가 현금배당을 실시해 총 30조3451억원을 지급했다고 밝혔다. 이는 2023년 27조4525억원보다 2조8926억원(10.5%) 증가한 수치다. 법인당 평균 배당금도 492억원에서 537억원으로 늘었다.
5년 이상 연속 배당을 이어간 법인은 454개사로, 배당 실시 기업의 80.4%를 차지했다. 지난해 보통주와 우선주의 평균 시가배당률은 각각 3.05%, 3.70%로 최근 5년 내 가장 높았다.
국고채 수익률이 하락한 반면 평균 시가배당률은 상승하면서, 국고채 수익률(3.17%)과 보통주 시가배당률 간 차이는 2023년 0.81%포인트에서 지난해 0.12%포인트로 크게 줄었다. 최근 5년간 업종별 평균 시가배당률은 금융(3.80%), 전기가스(3.61%), 통신(3.49%) 순이었다.
배당법인의 평균 배당성향은 34.74%로 전년 대비 0.43%포인트 상승했다. 현금 배당을 실시한 법인의 지난해 평균 주가 수익률은 -5.09%로, 같은 기간 코스피 수익률인 -9.63%보다 양호했다.
거래소는 밸류업 공시를 진행한 12월 결산법인 105개사를 분석한 결과, 이 중 100개사(95.4%)가 배당을 실시했고 총 배당금은 18조원으로 코스피 배당금 총액의 59.2%를 차지했다고 설명했다. 이들 기업의 평균 시가배당률은 보통주 3.15%, 우선주 3.99%이며, 배당성향은 40.95%로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거래소는 “고금리, 환율 상승 등 어려운 경영환경에도 많은 상장사가 주주환원 확대와 안정적 배당정책 유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특히 밸류업 공시법인이 더 높은 주주환원을 통해 기업가치 제고와 증시 활성화를 선도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한편 코스닥시장에서는 12월 결산법인 612개사가 총 2조3130억원의 현금배당을 실시해 역대 최대 기록을 경신했다. 전년(2조527억원) 대비 2603억원(12.7%) 증가했으며, 배당법인 수도 607개사에서 소폭 늘었다. 5년 연속 결산배당을 실시한 법인은 402개사로 나타났다.
코스닥 배당법인의 평균 배당성향은 34.4%, 시가배당률은 2.529%로 전년 대비 각각 상승했으며, 평균 주가 수익률도 -13.0%로 코스닥지수 수익률(-21.7%)보다 양호했다. /suyu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통신사, 해킹 사태 후폭풍…엇갈린 CEO 행보
- 청소년 '위고비' 투약 증가에…식약처, 이상 사례 모니터링 강화한다
- “미리 크리스마스”…백화점업계, 연말 대목 선점 경쟁 치열
- 롯데손보, 법리 다툼 본격화…매각 불확실성 고조
- 콘텐츠 업체가 농수축산업을? 한계기업의 무더기 신사업 예고
- "수능 대박 기원"…유통가, 수험생 응원 마케팅 박차
- 첨단재생의료 내년부터 비급여 허용…"실손 재정 부담 우려"
- 스타벅스, 전국 13개 매장에 크리스마스 트리 공간 조성
- BYD 1위·지리 2위…中, 글로벌 전기차 시장 '압도'
- KDI, 경기 둔화 속 실업률 "착시"…'쉬었음' 청년 늘어난 탓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한지 위에 시간을 새기고 빛을 입히다
- 2中 수출 규제로 이트륨 가격 폭등…첨단 산업 전방위 '비상'
- 3천안 이랜드 물류센터 화재…대응 2단계 발령, 헬기 8대 투입
- 4순창군의회, "농어촌 기본소득 국비 40%는 부족"
- 5남원시, 혹한 대비 '대설·한파 대책기간' 운영
- 6한미 협상 후폭풍…민주 ‘성과론’ vs 국힘 ‘검증론’ 충돌
- 7"日, 고물가 대응 위해 180조원대 투입…추경 130조원 전망"
- 8김영훈 노동장관 “울산화력 사고 구조적 원인 규명…엄정 수사”
- 9조태용 전 원장, 구속 타당성 다툰다…16일 구속적부심
- 10中, 자국민에 일본 방문 경고…‘대만 유사시’ 발언 후 파장 확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