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옥석 가리려는 新외감법, 옥마저 깰까 두렵다

최근 탐방 취재 예정이었던 기업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
“갑작스레 죄송하지만 이번에는 탐방이 어려울 것 같습니다”
이유를 물었더니 ‘외감법 강화 때문에 내부적으로 처리해야 할 사안이 많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업계에서도 건실한 기업으로 유명했고, 꾸준히 수익을 내왔음에도 새로운 외부감사법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사태의 여파로 지난해 11월부터 시행된 새로운 외부감사법은 기업의 투명성을 더욱 높일 수 있는 방안들을 담았다.
내부회계관리제도 규율과 감사위원의 권한을 강화했고, 회계 부정에 대한 과징금 상한을 없애 부정을 저지른 기업과 감사인 모두가 강한 처벌을 받도록 개선했다.
투명한 기업과 부정한 기업, 이른바 옥석(玉石)을 구분하기가 더 쉬워진 것이다.
하지만 돌을 골라내는 데에 집중하다 보니 옥에 상처가 나는 것은 신경 쓰지 못한 것 같다.
코스닥협회에 따르면 새로운 외감법 도입 후 지난해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은 코스닥 기업은 전년 대비 12곳 늘어난 30곳에 달했고, 올해 3월 말 기준으로만 봐도 20곳 이상의 기업이 비적정 감사의견을 받았다.
삼정KPMG는 최근 세미나를 통해 “새로운 감사제도의 영향으로 회사의 재무제표작성 책임과 외부감사 강도가 증가했고, 이에 따라 감사의견 제한으로 인한 상장폐지·평판 위험이 크게 늘어났다”면서 “개정된 법규에 따른 제도 재정비가 지연될 경우 중요한 취약점이 드러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한 금융당국은 지난달 회계상 ‘중과실’ 판단을 보다 신중하게 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회계감리 신(新) 조치 양정 기준’을 발표했다.
이에 더해 앞으로 1년간 ‘회계개혁 정착지원단’을 운영하기로 했고, 한국거래소도 부랴부랴 상장사 회계담당자 실무교육에 나섰다.
하지만 신외감법을 두려워한 감사인 측이 극도로 보수적인 감사를 할 경우 수 억원의 비용과 시간, 평판 하락은 모두 기업의 몫이라는 점은 변함이 없다.
옥석을 가리는 것은 중요하다.
다만 옥과 돌을 나누는 데에 큰 쇠집게를 쓴다면 옥에 흠집을 내거나 심하게는 깨뜨릴 수도 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섬세하게 옥을 골라낼 수 있는, ‘핀셋’ 같은 가이드라인이 필요한 시점이다./김성훈기자 bevoice@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박땅꾼의 땅땅땅] 왜 토지투자를 할까? 목표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정부 정책을 따라간다
- [이지연의 스마트 스피치] 자발적 IR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사람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1시간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무모한 도전이 될까, 위대한 도전이 될까?
- [대박땅꾼의 땅땅땅] 꼼꼼히 준비해야 하는 지목변경
- [대박땅꾼의 땅땅땅] 기획부동산을 조심하자
- [기고] 국가인재생태계 개혁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3,000만 원짜리 토지 투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무주군, 세계태권도 옥타곤다이아몬드·그랑프리 챌린지 유치
- 2진안군, 파크골프 전문기업과 손잡고 전국대회 추진
- 3전주시, 벚꽃길 특별노선 운영…전기 마을버스 하루 10회 운행
- 4전북자치도, 美 관세정책 대응 나서…도내 수출기업 보호 총력
- 5전북자치도, 중견기업-지역혁신 얼라이언스 공모 선정…국비 42억 확보
- 6전북도소방본부, 화재조사 매뉴얼 제작 착수…TF팀 운영
- 7리브랜딩 2년 이니스프리…‘제주’ 뗐더니 실적 뚝
- 8‘추가비용 나몰라라’…SI업계, 공공기관 소송 증가
- 9“밑 빠진 독에 물 붓기”…SK이노, 또 중복상장 논란
- 10전북자치도의회, 2024회계연도 결산검사위원 위촉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