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허리디스크 있다면 체중조절은 필수

불규칙한 식단과 과식, 운동부족 등으로 비만을 겪고 있는 현대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당뇨, 심혈관질환, 위장병 및 관절질환 등 여러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많은 이들이 간과하는 것이 과체중으로 인한 허리와 무릎 관절의 통증이다. 체중이 증가하게 되면 몸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척추 하중이 높아지고, 허리에 부담이 가면서 디스크의 퇴행이 빨라짐과 함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척추는 우리 몸의 중심이자 기둥과도 같다. 이에 허리가 무너질 경우 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대표 질환인 허리디스크는 방치 시 증상 악화와 함께 대소변 기능 장애, 하지 마비 등과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가볍게 넘겨서는 안된다.
척추뼈 일부가 앞쪽으로 밀려나오는 ‘전방전위증’ 또한 허리가 앞으로 쑥 들어가는 양상을 띠며 복부 비만이나 과체중인 경우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임산부가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이유도 이와 같다.
체중이 1kg 늘어날 때마다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은 약 3~5kg으로 비례해 증가하기 때문에 체중 조절은 비단 몸매 관리를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비만 또는 과체중인데 허리 통증이 있다면 꾸준한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허리에 가는 자극을 줄여줄 필요성이 있다.
다만 이미 허리디스크가 발생한 환자들의 경우 허리를 자극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허리에 부담이 가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체중을 줄일 수 있는 수영, 빨리 걷기, 허리 근력 강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운동은 일주일 평균 3~4회 옆 사람과 대화가 가능한 정도의 강도로 진행하는 것을 권장하며, 하루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특히 나이가 있는 중장년층은 스트레칭, 요가 등 과격하지 않은 운동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이 외에도 허리를 곧게 펴고 바른 자세로 앉는 습관, 장시간 앉아있지 않기, 수시로 스트레칭을 해 허리의 긴장 풀기, 다리 꼬기나 허리 굽히기를 하지 않기, 무거운 물건을 오래 들지 않기 등을 통해 일상에서도 허리 건강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의학 상식] 허리디스크 있다면 체중조절은 필수
불규칙한 식단과 과식, 운동부족 등으로 비만을 겪고 있는 현대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당뇨, 심혈관질환, 위장병 및 관절질환 등 여러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많은 이들이 간과하는 것이 과체중으로 인한 허리와 무릎 관절의 통증이다. 체중이 증가하게 되면 몸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척추 하중이 높아지고, 허리에 부담이 가면서 디스크의 퇴행이 빨라짐과 함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척추는 우리 몸의 중심이자 기둥과도 같다. 이에 허리가 무너질 경우 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대표 질환인 허리디스크는 방치 시 증상 악화와 함께 대소변 기능 장애, 하지 마비 등과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가볍게 넘겨서는 안된다.
척추뼈 일부가 앞쪽으로 밀려나오는 ‘전방전위증’ 또한 허리가 앞으로 쑥 들어가는 양상을 띠며 복부 비만이나 과체중인 경우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임산부가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이유도 이와 같다.
체중이 1kg 늘어날 때마다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은 약 3~5kg으로 비례해 증가하기 때문에 체중 조절은 비단 몸매 관리를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비만 또는 과체중인데 허리 통증이 있다면 꾸준한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허리에 가는 자극을 줄여줄 필요성이 있다.
다만 이미 허리디스크가 발생한 환자들의 경우 허리를 자극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허리에 부담이 가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체중을 줄일 수 있는 수영, 빨리 걷기, 허리 근력 강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운동은 일주일 평균 3~4회 옆 사람과 대화가 가능한 정도의 강도로 진행하는 것을 권장하며, 하루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특히 나이가 있는 중장년층은 스트레칭, 요가 등 과격하지 않은 운동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이 외에도 허리를 곧게 펴고 바른 자세로 앉는 습관, 장시간 앉아있지 않기, 수시로 스트레칭을 해 허리의 긴장 풀기, 다리 꼬기나 허리 굽히기를 하지 않기, 무거운 물건을 오래 들지 않기 등을 통해 일상에서도 허리 건강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최훈규 센터장(바른마디병원 척추센터)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무더운 여름, 전립선 건강엔 ‘빨간 불’
- 환자 맞춤형 인공관절 수술도구 스카이브 '니비게이트'…'평가 유예 신의료기술' 선정
- 새로운 결핵 백신·치료 플랫폼 개발…수지상세포 활용
- 바른세상병원, 4주기 연속 복지부 의료기관 인증 획득
- "나이 많다고 검진 제외됐는데…" 70세 이상도 '저선량 CT' 한 번에 폐암 발견
- 중앙대병원 "85세 고령에도 심장 수술…삶의 질 크게 높아져"
- 자생한방병원, 여성 청소년들에 3000만원 상당 ‘엔젤박스’ 전달
- 식약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 치료제 ‘칼소디주’ 허가
- “담도암 면역항암제, 보험 급여 해달라”…한국혈액암협회, 국회에 의견서 전달
- 센트룸 섭취자 86% "하루 한 알 영양보충 만족"…브랜드 캠페인 시작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이숙자 남원시의원, 민원 현장 적극 대응…시민과 소통 강화
- 2남원시의회, 도민체전 출전 선수단 격려…"남원 명예 위해 파이팅"
- 3남원 수지면 3개 마을, 광역상수도 공급 완료
- 4순창군, 새솔중학교 소프트테니스 인조잔디구장 완공
- 5"진짜 남원추어탕의 비밀은 미꾸리"…남원, 미꾸리 대량생산 사업 시동
- 6장수군, 대전역 팝업스토어 운영…'장수한우랑사과랑축제' 홍보 나서
- 7남원시, 시민과 함께 그리는 미래…'열린소통 시민보고회' 개최
- 8임실군, RISE 사업 첫 출발…오수서 반려동물 전문가 교육 본격화
- 9고창식품산업연구원, 로컬푸드 박람회서 김치소재 홍보
- 10고창군 청년정책협의체 정기총회…청년의날 기념행사 추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