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상식] 허리디스크 있다면 체중조절은 필수

불규칙한 식단과 과식, 운동부족 등으로 비만을 겪고 있는 현대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당뇨, 심혈관질환, 위장병 및 관절질환 등 여러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많은 이들이 간과하는 것이 과체중으로 인한 허리와 무릎 관절의 통증이다. 체중이 증가하게 되면 몸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척추 하중이 높아지고, 허리에 부담이 가면서 디스크의 퇴행이 빨라짐과 함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척추는 우리 몸의 중심이자 기둥과도 같다. 이에 허리가 무너질 경우 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대표 질환인 허리디스크는 방치 시 증상 악화와 함께 대소변 기능 장애, 하지 마비 등과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가볍게 넘겨서는 안된다.
척추뼈 일부가 앞쪽으로 밀려나오는 ‘전방전위증’ 또한 허리가 앞으로 쑥 들어가는 양상을 띠며 복부 비만이나 과체중인 경우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임산부가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이유도 이와 같다.
체중이 1kg 늘어날 때마다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은 약 3~5kg으로 비례해 증가하기 때문에 체중 조절은 비단 몸매 관리를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비만 또는 과체중인데 허리 통증이 있다면 꾸준한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허리에 가는 자극을 줄여줄 필요성이 있다.
다만 이미 허리디스크가 발생한 환자들의 경우 허리를 자극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허리에 부담이 가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체중을 줄일 수 있는 수영, 빨리 걷기, 허리 근력 강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운동은 일주일 평균 3~4회 옆 사람과 대화가 가능한 정도의 강도로 진행하는 것을 권장하며, 하루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특히 나이가 있는 중장년층은 스트레칭, 요가 등 과격하지 않은 운동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이 외에도 허리를 곧게 펴고 바른 자세로 앉는 습관, 장시간 앉아있지 않기, 수시로 스트레칭을 해 허리의 긴장 풀기, 다리 꼬기나 허리 굽히기를 하지 않기, 무거운 물건을 오래 들지 않기 등을 통해 일상에서도 허리 건강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의학 상식] 허리디스크 있다면 체중조절은 필수
불규칙한 식단과 과식, 운동부족 등으로 비만을 겪고 있는 현대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비만은 당뇨, 심혈관질환, 위장병 및 관절질환 등 여러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많은 이들이 간과하는 것이 과체중으로 인한 허리와 무릎 관절의 통증이다. 체중이 증가하게 되면 몸의 지지대 역할을 하는 척추 하중이 높아지고, 허리에 부담이 가면서 디스크의 퇴행이 빨라짐과 함께 통증이 발생할 수 있다.
척추는 우리 몸의 중심이자 기둥과도 같다. 이에 허리가 무너질 경우 전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대표 질환인 허리디스크는 방치 시 증상 악화와 함께 대소변 기능 장애, 하지 마비 등과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어 가볍게 넘겨서는 안된다.
척추뼈 일부가 앞쪽으로 밀려나오는 ‘전방전위증’ 또한 허리가 앞으로 쑥 들어가는 양상을 띠며 복부 비만이나 과체중인 경우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임산부가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이유도 이와 같다.
체중이 1kg 늘어날 때마다 무릎에 가해지는 압력은 약 3~5kg으로 비례해 증가하기 때문에 체중 조절은 비단 몸매 관리를 위해서만 필요한 것이 아니다. 비만 또는 과체중인데 허리 통증이 있다면 꾸준한 운동을 지속적으로 실시함으로써 허리에 가는 자극을 줄여줄 필요성이 있다.
다만 이미 허리디스크가 발생한 환자들의 경우 허리를 자극해서는 안되기 때문에 허리에 부담이 가지 않으면서도 효과적으로 체중을 줄일 수 있는 수영, 빨리 걷기, 허리 근력 강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는 것이 좋다.
운동은 일주일 평균 3~4회 옆 사람과 대화가 가능한 정도의 강도로 진행하는 것을 권장하며, 하루 30분 이상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특히 나이가 있는 중장년층은 스트레칭, 요가 등 과격하지 않은 운동을 중심으로 진행하는 것이 좋다.
이 외에도 허리를 곧게 펴고 바른 자세로 앉는 습관, 장시간 앉아있지 않기, 수시로 스트레칭을 해 허리의 긴장 풀기, 다리 꼬기나 허리 굽히기를 하지 않기, 무거운 물건을 오래 들지 않기 등을 통해 일상에서도 허리 건강을 위한 관리가 필요하다. /정의준 기자 firstay@sedaily.com
도움말: 최훈규 센터장(바른마디병원 척추센터)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폭음하는 여성, 연부조직 육종 발생률 3.7배 높아"
- 경희대병원 이정희 교수팀, 척추변형 교정의 ‘새 수술법’ 제시
- HK이노엔 "급성 심근경색 환자의 '케이캡' 복용…위장관 출혈 위험 낮춰"
- 이대목동병원, 이뮤니크와 업무협약 체결
- 강서K병원, ‘런서울런 2025’ 의료지원
- 수술 건수 1위 '백내장'…언제 수술해야 할까?
- 강동경희대병원, 부정맥클리닉 개소…약물부터 최첨단 시술까지 가능
- 폐암 재발 위험 '인공지능'으로 1년 앞서 예측한다
- 폐암약 ‘렉라자’, ‘타그리소’와 승부…약값이냐 내성이냐
- 기생충 감염이 옛말? ‘희귀 감염’은 오히려 사례 늘어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츄파춥스 ‘사워 젤리’, 판매량 800만 봉지 넘어
- 2드론·로봇·글로컬 축제…남원시, 국제드론제전 준비 총력
- 3최대 40% 혜택…장수군, 장수몰 통해 넉넉한 한가위 지원
- 4"장 담그기 문화 세계로" 순창, 발효문화 국제포럼 12일 개막
- 5순창군, 청년근로자 기숙사 조성 '순항'…정주여건 개선 기대
- 6문구단체 “대기업의 생계형 문구업 잠식 중단하라”
- 7"모두가 존중받는 성평등 사회"…임실군, 양성평등주간 기념행사 성료
- 8부산도시공사 “도시재생 주민공모사업 우수사례 공유의 장 열린다”
- 9남원시의회 자치행정위 "지역민 삶에 실질적 도움 되는 정책 필요"
- 10양충모 전 새만금개발청장, 자전적 저서 '남원가는길 양충모' 출간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