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청탁용?…보험사, ‘관치 논란’에도 관료 모시기 여전
금융·증권
입력 2025-04-01 18:24:15
수정 2025-04-01 18:24:15
김도하 기자
0개

보험사들이 ‘금융판 중대재해처벌법’으로 불리는 책무구조도 도입을 앞두고 관료 출신 모시기에 열을 올리고 있습니다. 금융당국 출신 인사들을 사외이사로 영입하는 사례가 잇따르고 있는데요. ‘관치 논란’에도 관료출신 채용을 계속하는 이유가 뭔지, 김도하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금융판 중대재해처벌법’으로 불리는 책무구조도.
책무구조도는 금융사 임원의 책임 소재를 명확히 해 금융사고가 발생하면 담당 임원에 책임을 묻는 제도입니다. 금융사고 예방을 위해 내부통제를 강화하겠다는 취지에서 마련됐습니다.
자산총액 5조원 이상의 대형 보험사는 오는 7월 2일까지 책무구조도를 금융당국에 제출해야 합니다.
당국은 오는 11일까지 책무구조도를 제출한 보험사를 대상으로 본격 시행 전까지 시범운영에 들어갑니다.
책무구조도 시행을 앞둔 보험사들은 사외이사 자리에 관 출신 인사들을 속속 영입하고 있습니다.
생명보험업계 1위사인 삼성생명은 3명의 사외이사를 관 출신으로 선임했습니다. 기재부 제2차관과 국무조정실장을 지낸 구윤철 서울대 특임교수를 새 사외이사로 영입했고, 경제 관료 출신인 유일호, 허경옥 사외이사는 재선임하기로 했습니다.
한화손해보험은 유광열 전 금융감독원 수석부원장을, DB손해보험은 금융위원회 상품심사위원을 지낸 박세민 고려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신규 사외이사로 영입했습니다.
현대해상과 흥국화재도 금감원을 거친 인사들을 잇달아 신임 사외이사로 선임했습니다.
롯데손해보험은 기재부 출신인 윤태식 전 관세청장을 새 사외이사로 맞았습니다.
책무구조도 도입과 새 회계제도 개편 등에 대응하기 위해 당국과 교감이 가능한 관 출신 인사를 선호하는 분위깁니다.
하지만 보험사들이 관 출신 사외이사진을 구축하면서 ‘관치 금융’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경영진을 감시하고 견제해야 하는 사외이사에 전직 관료 출신이 포진하게 되면 이사회가 실질적인 독립성을 확보하기 어렵고, 관치 수단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지적입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CJ, 올리브영 매출 성장 기대…목표가↑-대신
- "휴머노이드 로봇 성장기…아이텍, 반도체 칩 테스트 SW 설계력 주목"
- 산은 새 리더십에…KDB생명 정상화 속도 낼까
- 하나금융 "주주환원율 높여라"…하반기 경영환경 변수
- 돌아온 반도체…외국인 폭풍매수에 코스피도 '훨훨'
- 셀피글로벌 "주총서 가중결의 요건 불충족…해임안 미결의"
- 이화전기 M&A 나선 코아스, '냉각기간'에 발목 잡히나
- 대성파인텍 "9.81파크 제주, 개장 이후 최대 월간 판매액 달성"
- 영림원소프트랩, 전력거래소 'ERP 시스템' 구축 사업 수주
- BNK금융·한국해양진흥공사, 동남권 해양산업 육성 업무협약 체결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넷마블 '나 혼자만 레벨업:어라이즈', 500일 기념 3종 이벤트 진행
- 2CJ, 올리브영 매출 성장 기대…목표가↑-대신
- 3샘플창고, '대형 메가샘플'로 자재 선택 새로운 기준 제시
- 4커넥트밸류, AI 기반 모듈형 직무교육 플랫폼 개발 본격화
- 5"휴머노이드 로봇 성장기…아이텍, 반도체 칩 테스트 SW 설계력 주목"
- 6메빅스, 에버랜드 가을 축제 '프르젝션 맵핑 파트너'로 참여
- 7신라면세점, 보이그룹 엔싸인 모델 발탁…MZ세대 공략
- 8SK하이닉스, 세계 최초 ‘HBM4’ 개발 완료…양산 체제 구축
- 9LS일렉트릭, 2025 대한민국 일자리 으뜸기업 선정
- 10산업부, 전력망 중앙·지방 협의체 첫 회의…"경제 성장 대동맥 구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