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창신 기자

정창신 기자
  • 최신순
작년 늘어난 건물면적 1억1,000㎡… 63빌딩 470개 맞먹어
작년 늘어난 건물면적 1억1,000㎡… 63빌딩 470개 맞먹어
지난해 우리나라에 새로 지어지고 일부는 사라지면서 순증한 건축물의 총 연면적이 여의도 63빌딩 470개와 맞먹는 것으로 집계됐다. 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18년 말 전국 건축물 연면적은 전년보다 1억1,219만4,000㎡(3.1%) 증가한
2019-02-07정창신 기자
전용 61~85㎡ 중소형 아파트 인기… 작년 거래량 절반넘어
전용 61~85㎡ 중소형 아파트 인기… 작년 거래량 절반넘어
지난해 아파트 매매시장과 분양시장은 중소형이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7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작년 아파트 전체 거래량 중 전용면적 61~85㎡의 중소형 아파트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지난해 아파트
2019-02-07정창신 기자
상가시장 '스테디셀러' 서울 초역세권 상가 어디
상가시장 '스테디셀러' 서울 초역세권 상가 어디
상가시장에서 서울 초역세권 상가는 ‘스테디셀러’로 꼽힌다. 서울은 대한민국 경제의 중심지로 역세권에 공급되는 상가는 탄탄한 유동인구를 확보하게 된다. 역세권은 일반적으로 지하철역에서 반경 500m 이내를 말한다. 역
2019-02-06정창신 기자
‘부동산 규제 영향’ 은행 가계대출 22개월만에 가장 둔화
‘부동산 규제 영향’ 은행 가계대출 22개월만에 가장 둔화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은행권 가계대출 증가세가 꺾였다. 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KEB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주요은행의 1월 말 가계대출 잔액은 571조3,798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월과 비교해 1조153억원 늘
2019-02-06정창신 기자
“집 사지말고 더 기다리자” 서울 아파트 매매량 6년만에 최저
“집 사지말고 더 기다리자” 서울 아파트 매매량 6년만에 최저
지난 1월 서울 아파트 매매량이 같은 달 기준 6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떨어졌다. 6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매매량은 1,857건으로 2013년 1,196건 이후 1월 거래량 기준 최저를 기록했다. 지난해 1월 1만198
2019-02-06정창신 기자
트럼프·김정은, 27∼28일 베트남서 2차 북미정상회담
트럼프·김정은, 27∼28일 베트남서 2차 북미정상회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27∼28일 베트남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2차 북미정상회담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신년 국정연설을 앞두고 주요 방송사 앵커들과 오찬을 함께한 자리에
2019-02-06정창신 기자
정부
정부 "도시계획 수립시 지자체 권한 강화"
국토교통부는 지역이 주도하는 도시계획 수립을 위해 지자체 권한을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시행규칙 등 개정안을 입법 예고한다고 1일 밝혔다. 현재 제2종일반주거지역, 중심상
2019-02-01정창신 기자
서울 월간 주택가격 4년6개월 만에 하락… 정부 규제 영향
서울 월간 주택가격 4년6개월 만에 하락… 정부 규제 영향
정부의 일관된 부동산 규제 대책으로 서울 주택가격이 월간통계로 4년6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1일 한국감정원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지역 주택(아파트·단독·연립·다세대 등 포함) 가격은 전월 대비 0.20% 하락했
2019-02-01정창신 기자
서울 상암동 DMC 먹자상권 ‘상암 엠시티’ 분양·임대
서울 상암동 DMC 먹자상권 ‘상암 엠시티’ 분양·임대
마음건축이 서울 마포구 상암동 디지털미디어시티(DMC) 직장인 퇴근길 동선인 먹자상권에 상암 엠(M)시티 상가를 오는 2월경 분양·임대에 나선다고 1일 밝혔다. 이 상가는 상암동 12-31 외 2필지 일대에 연면적 2,623.51㎡, 지하 2층~
2019-02-01정창신 기자
서울시, 명절마다 층간소음 민원 증가… 보복소음 민원도 꾸준
서울시, 명절마다 층간소음 민원 증가… 보복소음 민원도 꾸준
명절 때 마다 층간소음 민원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층간소음 전문 컨설팅단 운영을 시작한 2014년 4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접수된 상담민원 3,403건 중에서 명절 전후로 민원 접수 건수를 비교한
2019-02-01정창신 기자
미세먼지 탓에… 주거선택 ‘숲세권’ 입지 관심
미세먼지 탓에… 주거선택 ‘숲세권’ 입지 관심
미세먼지의 심각성이 커지면서 인근으로 녹지가 풍부한 숲세권 아파트에 관심이 고 있다. 나뭇잎과 나뭇가지가 미세먼지를 흡착하고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집 주변 녹지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국립
2019-02-01정창신 기자
삼성엔지니어링, 작년 영업이익 2,061억원…전년대비 339%↑
삼성엔지니어링, 작년 영업이익 2,061억원…전년대비 339%↑
삼성엔지니어링이 지난해 2,061억원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31일 잠정실적공시를 통해 2018년 연간 매출 5조4,798억원, 영업이익 2,061억원, 순이익 702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 대비 매출은 1% 감소했지만,
2019-01-31정창신 기자
[이슈플러스] 손혜원 논란으로 본 국회의원 부동산王家는 누구
[이슈플러스] 손혜원 논란으로 본 국회의원 부동산王家는 누구
아파트나 집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투자 수단이기도 하지만 인간의 기본권인 주거 수단이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주택보급률이 100%를 넘습니다. 고루 주택을 나눈다면 이론적으로 국민 모두가 살 집이 있는 겁니다. 하지만 무
2019-01-31정창신 기자
한전, 설 맞아 광주‧전남 소외계층에 각각 1억5,000만원 전달
한전, 설 맞아 광주‧전남 소외계층에 각각 1억5,000만원 전달
한국전력과 전국전력노조가 31일 전남 나주 본사에서 소외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광주‧전남 사회복지공동모금회에 각각 1억5,000만원을 전달했다고 밝혔다. 기금 전달식에 이어, 나주시 소재 영산포종합사회복지관에서 관내 복
2019-01-31정창신 기자
올해 서울 입주물량 4.3만가구… 5년만에 멸실주택보다 많아졌다
올해 서울 입주물량 4.3만가구… 5년만에 멸실주택보다 많아졌다
올해 서울의 아파트 입주물량은 4만3,106가구인데 반해 멸실 주택 수는 예년에 비해 15% 가량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서울에서 진행 중인 재건축·재개발 정비사업으로 올해 예상되는 주택 멸실은 3만7
2019-01-31정창신 기자
포스코건설, 대구 중리지구 3,160억원 규모 재건축 수주
포스코건설, 대구 중리지구 3,160억원 규모 재건축 수주
포스코건설이 대구 중리지구 재건축사업을 수주하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30일 대구 중리중학교에서 열린 대구 중리지구 재건축조합 시공사선정총회에서 포스코건설이 전체 조합원의 과반이 넘는 498표를 얻어 사업을 수주하
2019-01-31정창신 기자
상가에 유럽거리·유명건물 등 이름 붙인 '작명 마케팅' 눈길
상가에 유럽거리·유명건물 등 이름 붙인 '작명 마케팅' 눈길
인지도가 높은 연예인을 광고 모델로 내세우는 ‘스타 마케팅’은 분양 시장에서도 흔히 쓰였던 전략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단순히 스타의 유명세에 의존하기 보다는 상품성 자체를 높이면서 톡톡 튀는 네이밍으로 수요자들을
2019-01-31정창신 기자
성윤모 장관, 전통시장·장애인시설 방문… 에너지시설도 점검
성윤모 장관, 전통시장·장애인시설 방문… 에너지시설도 점검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설 연휴를 맞아 전통시장 및 복지시설을 방문하고, 에너지시설 안전 점검에 나섰다. 30일 산업부에 따르면 성 장관은 충남 공주시에 있는 공주산성시장을 찾아 보육시설에 전달할 물품을 직접 온
2019-01-30정창신 기자
작년 주택 인허가 55만4,000가구… 부동산 규제로 15% 감소
작년 주택 인허가 55만4,000가구… 부동산 규제로 15% 감소
지난해 부동산 시장 규제가 강화되면서 전국 주택 인허가 물량은 55만4,000가구로 전년 대비 15.2%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30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작년 주택 인허가 물량은 55만4,136가구로 전년(65만3,441가구)에 비해 15.2%, 최근 5
2019-01-30정창신 기자
'준공후 미분양' 1만6,000여가구… 석달째 증가세
'준공후 미분양' 1만6,000여가구… 석달째 증가세
국토교통부는 건물이 완공되고 나서도 주인을 찾지 못한 '준공 후 미분양' 물량이 12월 말 기준 1만6,738가구로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이는 전달(1만6,638가구) 대비 0.6%(100가구) 증가한 수치다. 준공 후 미분양은 작년 9월 1만4,946
2019-01-30정창신 기자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