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 세습 경영 리스크, 주가가 말해준다

지인과 함께 한국 증시의 리스크는 무엇인가에 대해 논의하다 ‘세습’이라는 결론에 도달한 적이 있다.
막강한 권력을 가졌던 중세 유럽의 교황들은 자기 지위를 강화하기 위해 친족의 아이를 자신의 후계자로 삼는다. 권력 남용의 대표적인 예로 볼 수 있는 족벌주의, 이른바 -‘조카(nephew)’와 ‘편애(favoritism)’를 합친- 네포티즘(nepotism)이다.
네포티즘은 지금까지도 이어져 정계뿐 아니라 재계를 포함한 모든 영역에서 폐해를 낳고 있다. 혈연, 지연, 학연 등을 두고 무리를 지어 ‘자기들끼리’ 문화를 만들고 온갖 비리를 생산해낸다.
최근 이 네포티즘으로 인해 자멸하는 사례가 대기업 집단에서 나타나고 있다.
아버지 조중훈 창업주의 별세 후 한진그룹을 물려 받은 조양호 회장의 2세 경영체제는 상처로 마무리됐다. 형제들은 재산 상속 문제를 두고 끊임없이 갈등을 빚어 왔고 아내와 자식들은 돌아가며 사회적 물의를 일으켜 기업의 가치를 크게 훼손시켰다.
조양호 회장이 한진칼 주주총회에서 사내이사 연임에 최초로 실패했을 때, 미국에서 돌연 세상을 떠났을 때 한진칼의 주가는 상한가를 기록했다. 그룹 내 기업들의 주가 역시 일제히 급등했다.
시장은 알고 있다. 과거 둘째 조남호 회장은 부친으로부터 인수한 한진중공업을 채권단에 넘기고 말았고, 셋째 조수호 회장이 쓰러진 후 부인 최은영 회장이 맡은 한진해운은 파산했다.
한진가는 갑작스러운 3세 경영체제를 앞두고 있다.
총수가 물러나고 아시아나항공을 떠나 보낼 운명인 금호아시아나그룹은 최초로 외부인사를 수장에 앉힐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세습경영의 고리를 끊고 능력있는 전문 경영인 체제 도입으로 경영 투명성을 강화해 한국 증시가 한 단계 진보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 본다.
/양한나기자 one_sheep@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박땅꾼의 땅땅땅] 왜 토지투자를 할까? 목표에 따라 전략이 달라진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정부 정책을 따라간다
- [이지연의 스마트 스피치] 자발적 IR커뮤니케이션 활동의 필요성과 효과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사람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토지투자의 원리, 1시간에 투자한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무모한 도전이 될까, 위대한 도전이 될까?
- [대박땅꾼의 땅땅땅] 꼼꼼히 준비해야 하는 지목변경
- [대박땅꾼의 땅땅땅] 기획부동산을 조심하자
- [기고] 국가인재생태계 개혁 없다면, 대한민국 미래는 없다
- [대박땅꾼의 땅땅땅] 3,000만 원짜리 토지 투자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남해화학 여수공장서 40대 노동자 숨져
- 2안양시, 주소정보시설 350곳 확충
- 3화성국제테마파크 조성사업,,본궤도 올라
- 4수원시, ㈜에이직랜드와 민선 8기 19호 투자협약 체결
- 5경주시,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서비스 제공기관 선정
- 6김천시, 소통으로 공감하는 “청렴 톡톡쇼” 성황리 개최
- 7한국수력원자력, 美 전력연구소와 수전해 기술공유 워크숍 개최
- 8영천시시설관리공단, ‘2025 대한민국 ESG대상’ 통일부 장관상 및 ‘한국ESG경영대상’ 최우수 수상 영광
- 9영천와인, 독일 베를린 국제와인대회 금ㆍ은상 수상
- 10김천시, 사람 중심의 따뜻한 지역복지 실현 위한 논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