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론, 반년만에 2조원 급증…당국, 리스크 관리 나서

[앵커]
정부가 가계부채 관리를 위해 은행권 대출 조이기에 나서자 카드론으로 풍선효과가 현실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가맹점 수수료 수익까지 크게 줄자 일부 카드사들이 카드론을 대폭 확대하면서 증가세를 견인했습니다. 금융당국은 카드론 잔액 증가세가 눈에 띄게 가팔라지자 카드론을 급격히 늘린 카드사들을 정조준하고 나섰습니다. 김도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9개 카드사(롯데·BC·삼성·신한·우리·하나·현대·KB국민·NH농협카드)의 지난 7월 말 기준 카드론 잔액은 41조2,266억원.
지난 1월 39조원을 넘어선 이후, 불과 6개월 만에 2조원가량 급증했습니다.
시중은행에 이어 저축은행까지 대출 규제가 강화되자, 신용카드만 있으면 별도 심사 없이 돈을 빌릴 수 있는 카드론으로 급전 수요가 몰린 겁니다.
더욱이 본업인 신용판매업에서 수익성 방어가 어려워진 카드사들이 대출 영업에 힘을 쏟으면서 카드론에 날개가 달렸습니다.
일부 카드사는 올해 카드론을 대폭 확대하면서 증가세를 이끌었습니다.
지난 7월 말 기준 롯데카드의 카드론 잔액은 지난해 말보다 21%넘게 증가하며 전체 카드론 증가분의 37%를 차지했습니다.
현대카드는 같은 기간 14.0% 증가했고, 우리카드도 11% 넘게 카드론을 확대했습니다.
카드론 급증에 금리인하요구도 급증했습니다.
법정 최고금리인 20%에 육박하는 카드론을 이용한 서민이 늘면서 이자부담에 금리인하요구권 행사도 덩달아 급증한 겁니다.
올해 상반기 기준 8개 전업 카드사(신한·삼성·KB국민·현대·롯데·BC·하나·우리)에 접수된 금리인하요구 신청은 28만여건으로, 지난해 상반기(23만4,966건)보다 4만건 넘게 늘었습니다.
카드사들의 금리인하수용률은 지난해보다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지만, 카드론 증가세를 감안하면 카드사 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
당국 역시 빠르게 증가한 카드론이 대규모 연체로 이어질 것을 우려해 카드론을 급격히 확대한 카드사에 제동을 걸고 나섰습니다.
금감원은 카드론 잔액 증가분의 60% 정도를 차지한 3개 카드사에 대해 이달 말까지 리스크 관리 계획을 요구한다는 계획입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진첨단소재 “기술 유출 수사 대주주·법인 관련성 없어”
- 엠젠솔루션, 'AI 화재 진압 솔루션' 탑재 소방 로봇 특허 출원
- 조이웍스앤코 "호카 오프라인 리테일 사업 매출 성장세"
- SKAI인텔리전스, ‘AI 서밋 서울 2025’ 참가
- 키움증권, 대학생 50명에 장학금 1억원 전달
- 하나자산운용, ‘하나파이팅코리아’ 펀드 순자산 1000억 돌파
- NH선물, ‘S&P500 매일만기옵션 OPEN API 실거래 지원’
- 오비고 "SDV 표준화 협의체 참가…생태계 확장 기여"
- 토스증권, AI 기반 시장 분석 서비스 ‘AI 시그널’ 출시
- 세나테크놀로지, '2025 로보월드' 참가…로봇 사업 본격화
주요뉴스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똘똘한 한 채 선호에 역세권 가치 ‘껑충’…수요층 선점 분주
- 2대진첨단소재 “기술 유출 수사 대주주·법인 관련성 없어”
- 3“원점에서 다시”… 한화오션, 안전관리 체계 혁신
- 4세븐일레븐, 올해 빼빼로데이 매출 120% 증가
- 5HS효성첨단소재, ‘문화예술후원우수기관’ 신규 인증기관 선정
- 6엠젠솔루션, 'AI 화재 진압 솔루션' 탑재 소방 로봇 특허 출원
- 7BMW 코리아, ‘뉴 X3 30 xDrive M 스포츠 패키지 프로’ 출시
- 8현대제철, '2025 레드닷 디자인 어워드' 본상 수상
- 9코리아교육그룹, 신규 온라인 강의 플랫폼 ‘블러 스튜디오’ 선공개
- 10HS효성첨단소재, ‘2025 문화예술후원우수기관’ 신규 인증기관 선정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