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車도 관세 오르나 ‘촉각’…韓 반사이익 ‘기대감’

경제·산업 입력 2025-02-08 08:00:09 수정 2025-02-08 08:00:09 이혜란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서울경제TV]

[서울경제TV=이혜란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글로벌 무역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 중국에 대해 10% 추가 관세 이행을 강행하는 한편 캐나다·멕시코에는 25%의 고율 관세 적용을 한 달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유럽연합(EU)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에 대해서도 시행 가능성을 시사해 유럽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첫 임기 당시에도 무역 불균형 문제를 주장한 바 있다. 유럽에서 미국산 자동차의 판매가 저조한 점을 지적하며 무역 적자를 문제 삼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현지시간)에도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항에서 기자들에게 유럽연합과의 무역에서 미국이 3500억 달러 무역 적자를 보고 있어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유럽연합은 자동차 수입에 10% 관세를 부과하는 반면, 미국은 2.5%만 부과하고 있다. 만약 이 관세를 캐나다·멕시코와 같이 25%로 인상하는 보편 관세를 부과하게 된다면, 유럽 자동차 업계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다만 관세 인상은 자동차 가격 상승만 초래할 뿐, 유럽 소비자들이 미국 자동차를 더 많이 구매하는 결과로는 이어지지 않을 거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는 유럽의 좁은 도로, 작은 주차 공간, 배기가스 및 안전 규제 등의 차이로 인해 유럽 내에서 미국 자동차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오히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올려 유럽산 자동차의 경쟁력을 낮추겠다고 위협하는 것을 놓고 전문가들은 전반적으로 자동차 판매가 줄어, 제조업체가 투자를 줄일 수밖에 없고 이는 미국 내 인력 감축이나 공장 폐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한편 유럽의 추가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현대차그룹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추가 관세 부과로 미국 내 경쟁업체 차량의 가격이 오르면 현대차그룹이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현지의 생산거점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으며, 백악관도 지난 2일 발표한 입장자료에서 현대차와 현대제철의 미국 투자 사례를 좋은 예로 밝힌 바 있다.  /ran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혜란 기자

rann@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