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車도 관세 오르나 ‘촉각’…韓 반사이익 ‘기대감’
경제·산업
입력 2025-02-08 08:00:09
수정 2025-02-08 08:00:09
이혜란 기자
0개

[서울경제TV=이혜란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한 이후 글로벌 무역 갈등이 심화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일 중국에 대해 10% 추가 관세 이행을 강행하는 한편 캐나다·멕시코에는 25%의 고율 관세 적용을 한 달간 유예하기로 결정했다. 또한, 유럽연합(EU)에 대한 추가 관세 부과에 대해서도 시행 가능성을 시사해 유럽 내에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17년 첫 임기 당시에도 무역 불균형 문제를 주장한 바 있다. 유럽에서 미국산 자동차의 판매가 저조한 점을 지적하며 무역 적자를 문제 삼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현지시간)에도 워싱턴DC 인근 앤드루스 공항에서 기자들에게 유럽연합과의 무역에서 미국이 3500억 달러 무역 적자를 보고 있어 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유럽연합은 자동차 수입에 10% 관세를 부과하는 반면, 미국은 2.5%만 부과하고 있다. 만약 이 관세를 캐나다·멕시코와 같이 25%로 인상하는 보편 관세를 부과하게 된다면, 유럽 자동차 업계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된다.
다만 관세 인상은 자동차 가격 상승만 초래할 뿐, 유럽 소비자들이 미국 자동차를 더 많이 구매하는 결과로는 이어지지 않을 거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는 유럽의 좁은 도로, 작은 주차 공간, 배기가스 및 안전 규제 등의 차이로 인해 유럽 내에서 미국 자동차의 선호도가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이다.
오히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올려 유럽산 자동차의 경쟁력을 낮추겠다고 위협하는 것을 놓고 전문가들은 전반적으로 자동차 판매가 줄어, 제조업체가 투자를 줄일 수밖에 없고 이는 미국 내 인력 감축이나 공장 폐쇄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다.
한편 유럽의 추가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현대차그룹이 반사이익을 얻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추가 관세 부과로 미국 내 경쟁업체 차량의 가격이 오르면 현대차그룹이 상대적으로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미국 현지의 생산거점 구축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왔으며, 백악관도 지난 2일 발표한 입장자료에서 현대차와 현대제철의 미국 투자 사례를 좋은 예로 밝힌 바 있다. /rann@sedaily.com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하반기 대어’ 대한조선 데뷔…공모가 대비 84.8% 상승
- 금융위, 중대재해기업 대출제한 검토…은행권 '난감'·건설업계 '긴장'
- 여름철 수족구병 확산…영유아 감염자 비율 급증
- 업비트·빗썸 코인 대여 제동…당국 TF 꾸려 규제 착수
- “車 관세 15% 유지”…FTA 효과 사라진 자동차 업계 ‘경고등’
- 현대차, 포티투닷에 2000억원대 추가 출자…"SDV 시장 정조준"
- 한미반도체, 하이브리드 본딩에 1000억 투자…"2027년 전용 장비 출시"
- 신한운용, '글로벌탄소중립솔루션 펀드 환매주기' 단축
- 3년 만에 6배 '폭등'…테슬라, 비트코인 일찍 팔아 5조 놓쳤다
- ‘美 수출형 LNG선’도 뚫었다…조선업계, 훈풍 지속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조현, 美상원·백악관 인사와 면담…"전략적 경제 협력 심화"
- 2도요타, 생산량 전망치 상향 조정…1000만대 가능성도
- 3트럼프, 파월에 불만 표출…연준의장직 유지 질문엔 "아마도"
- 4김건희특검, '집사게이트' 의혹 IMS·사모펀드 대표 동시 소환
- 5독일 "패트리엇 2기, 우크라이나 지원"
- 6안규백 국방장관, 폴란드 K2 전차 현지 생산 공장 방문
- 7빅터차 "트럼프, 무역합의 대가로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할듯"
- 8정부, 민생회복 소비쿠폰 불법 유통 특별 단속
- 9"디지털 자산 활성 기대"…비트마인에 몰린 서학개미
- 10"중학야구계 신흥 강호로 부상"…기장BC, '대통령기 전국중학야구대회' 첫 우승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