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지영 기자

이지영 기자
  • 최신순
재건축 시장 양극화…“조 단위·상징성 있어야 참여”
재건축 시장 양극화…“조 단위·상징성 있어야 참여”
건설경기 침체가 짙어지고 있는 가운데, 서울 노른자 땅인 강남에서 재건축 사업을 놓고 상반된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습니다. 압구정과 같은 조 단위 사업장이나 상징성이 있는 곳엔 대형 건설사들이 치열한 수주경쟁을 펼치고
2025-02-06이지영 기자
DL이앤씨, 지난해 영업익 2709억원…전년比 18%↓
DL이앤씨, 지난해 영업익 2709억원…전년比 18%↓
DL이앤씨는 잠정 실적발표를 통해 연결기준 지난해 연간 매출 8조 3184억원, 영업이익 2709억원이 예상된다고 6일 공시했다. 지난해 연간 매출은 전년보다 4% 증가했다. 영업이익은 18% 감소했다. DL이앤씨는 수익성을 확보할 수 있
2025-02-06이지영 기자
대우건설, 지난해 영업익 4031억원…전년比 39%↓
대우건설, 지난해 영업익 4031억원…전년比 39%↓
대우건설은 지난해 연간 경영실적 잠정집계 결과(연결기준) 매출 10조 5036억 원, 영업이익 4031억 원, 당기순이익 2428억 원의 누계 실적을 기록했다고 6일 공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9.8% 감소했으나 2024년 매출 목표(10조 4000억
2025-02-06이지영 기자
LH, 새 설비 공법으로 생활 소음 잡는다
LH, 새 설비 공법으로 생활 소음 잡는다
한국토지주택공사 LH는 공동주택 주방과 욕실에 새로운 설비공법을 적용해 생활소음을 획기적으로 줄였다고 6일 밝혔다. LH는 올해부터 화장실 배수소음을 줄일 수 있는 욕실 당해층배관 공법을 공공임대주택에 전면 적용한다
2025-02-06이지영 기자
“시세차익 단지만 북적”…청약 시장 양극화 심화
“시세차익 단지만 북적”…청약 시장 양극화 심화
로또분양으로 관심을 끌었던 서울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 1순위 청약에 4만명이 몰리며 평균 경쟁률 152대 1을 기록했습니다. 최대 7억 원가량의 시세차익이 기대되며 수요가 몰린 것으로 분석되는데요. 반면, 큰 시세
2025-02-05이지영 기자
부영그룹, 올해도 자녀 1명당 1억 ‘출산장려금’
부영그룹, 올해도 자녀 1명당 1억 ‘출산장려금’
부영그룹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출산장려금을 지급했습니다. 부영그룹은 오늘(5일) 서울 중구 본사에서 ‘2025 시무식’을 개최하고, 출산 직원에게 자녀 1인당 1억 원씩, 총 28억 원의 출산장려금을 지급했습니다. 이
2025-02-05이지영 기자
계룡건설, 연약지반 개량공법 신기술 취득
계룡건설, 연약지반 개량공법 신기술 취득
계룡건설은 파일웍스와 DL건설, 한화 건설부문과 함께 연약지반 개량공법 신기술을 취득했다고 5일 밝혔다. 계룡건설이 취득한 신기술은 수평 및 상하 교반장치를 이용해 테이퍼형 개량체를 지중에 형성하는 연약지반 개량공
2025-02-05이지영 기자
GS건설, 2024년 영업익 2,862억원..흑자전환
GS건설, 2024년 영업익 2,862억원..흑자전환
GS건설은 5일 공정 공시를 통해 매출 12조 8,638억 원, 영업이익 2,862억 원, 신규수주 19조 9,100억 원의 지난해 경영실적(잠정)을 발표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4.3%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흑자전환을 기록했다. 매출 성장세를 가늠
2025-02-05이지영 기자
4억 로또 '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
4억 로또 '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청약 일정 변경…"단지별로 나눠 접수"
최대 4억 원의 시세 차익이 예상되는 세종시 소담동 '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무순위 청약 일정이 일부 변경됐다. 한국부동산원은 '힐스테이트 세종 리버파크' 무순위 청약 접수를 8단지(H3블록)는 6일에, 7단지(H4블록)는 7일
2025-02-05이지영 기자
부동산 침체 시작?…“거래 뚝 가격 하락”
부동산 침체 시작?…“거래 뚝 가격 하락”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반년 만에 70%가량 줄었습니다. 매매가격도 1억원 이상 하락했는데요. 본격적인 부동산 침체가 시작됐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지영 기자입니다. 오늘(3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 자료에 따르면 지
2025-02-03이지영 기자
'래미안 원페를라', 4일 1순위 청약 시작
'래미안 원페를라', 4일 1순위 청약 시작
'래미안 원페를라'가 오는 4일 1순위 청약을 받는다. 래미안 원페를라는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동 일원에 들어서며, 지하 4층~지상 최고 22층, 16개 동, 총 1,097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가운데 전용 59~120㎡ 482가구를 일반분양한
2025-02-03이지영 기자
롯데건설, '롯데캐슬 더퍼스트' 분양 예정
롯데건설, '롯데캐슬 더퍼스트' 분양 예정
롯데건설은 이달 중 대전광역시 동구 가오동 일대에 대전 '롯데캐슬 더퍼스트'를 분양한다고 3일 밝혔다. 대전 롯데캐슬 더퍼스트는 지하 2층~지상 33층, 10개 동, 전용면적 59~120㎡, 총 952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이 가운데 전용면
2025-02-03이지영 기자
[부동산 캘린더] 내주 1,289가구 분양…분상 적용 '래미안 원페를라' 청약
[부동산 캘린더] 내주 1,289가구 분양…분상 적용 '래미안 원페를라' 청약
2월 첫째 주에는 전국에서 총 1,289가구가 분양된다. 31일 부동산 전문 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다음 주에는 전국 6곳에서 총 1,289가구(도시형생활주택 포함)가 청약 접수를 시작한다. ◇ 올해 첫 규제 지역 내 단지 '래미
2025-02-01이지영 기자
역세권 고밀 개발 본격화…“용적율·건폐율 완화”
역세권 고밀 개발 본격화…“용적율·건폐율 완화”
정부가 ‘철도 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철도 지하화 통합개발법)의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오늘(31일)부터 시행합니다. 철도가 지하로 들어가면서 생긴 상부 공간과 주변 부지의 원활한 개발을 위한
2025-01-31이지영 기자
LH, 고양창릉서 3기신도시  첫 번째 본 청약 시작
LH, 고양창릉서 3기신도시 첫 번째 본 청약 시작
한국토지주택공사 LH는 31일부터 3기신도시 고양창릉 3개 블록(A4, S5, S6) 총 1,792호 본청약 공급을 시작한다고 밝혔다. 고양창릉 공공택지지구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원흥동, 동산동, 용두동 등 일원에 789만㎡ 규모로 조성되는 3
2025-01-31이지영 기자
역세권 고밀 복합개발 본격화…용적률·건폐율 대폭 완화
역세권 고밀 복합개발 본격화…용적률·건폐율 대폭 완화
국토교통부는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시행규칙 제정안이 31일 공포·시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번 하위법령 제정을 통해 역세권 중심의 고밀 복합도시 조성을 위한 특례가 확대되
2025-01-31이지영 기자
빨간불 켜진 尹정부 부동산 정책, '임기 내' 실현 가능할까  
빨간불 켜진 尹정부 부동산 정책, '임기 내' 실현 가능할까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던 정비사업 규제 완화, 신규택지 공급 등의 부동산 정책 추진에 빨간불이 켜졌다. 야당과의 불협화음으로 가뜩이나 법 개정이 어려웠던 상황 속 국정 마비로 인해 불확실성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계엄
2025-01-29이지영 기자
작년 아파트 분양가, 매매가 추월…
작년 아파트 분양가, 매매가 추월…"15년만 역전"
지난해 전국 아파트 평균 분양 가격이 2009년 이후 15년 만에 평균 매매가를 역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아파트의 평균 분양 가격이 3.3㎡당 2,063만 원, 평균 매매시세는 1,918만원으로 나타나 분양가
2025-01-28이지영 기자
[부동산 캘린더] 설 연휴 이후 분양 큰장…'래미안 원페를라' 청약 시작
[부동산 캘린더] 설 연휴 이후 분양 큰장…'래미안 원페를라' 청약 시작
설 연휴가 끝난 후인 다음 달 첫째 주 전국에서 총 2,295가구가 공급된다. 25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월 첫째 주 전국 4개 단지에서 총 2,295가구(일반분양 925가구)가 청약을 받는다. 서울에서는 서초구 방배동 '래미안 원페를라'가
2025-01-27이지영 기자
기후동행카드, 출시 1년 만에 누적 충전 756만건 돌파
기후동행카드, 출시 1년 만에 누적 충전 756만건 돌파
서울시는 무제한 대중교통 통합정기권인 '기후동행카드'가 출시 1년 만에 누적 충전 756만건을 돌파했다고 26일 밝혔다. 활성화 카드 수는 70만장, 일평균 사용자 수는 60만명을 기록했다. 서울 지역에서 대중교통 이용에 사용된
2025-01-26이지영 기자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