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의 철강업계…해외거점·혁신기술 ‘투트랙’ 대응
경제·산업
입력 2025-01-13 17:20:13
수정 2025-01-13 18:29:10
김효진 기자
0개

[앵커]
국내 철강업계가 공급과잉, 통상장벽 불확실성 등으로 위기의 골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지난해 포스코가 포항 1선재공장과 1제강공장을 폐쇄한 데 이어 현대제철도 포항공장을 축소 운영하기로 하는 등 철강업황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는데요. 업계는 해외 거점 확보 등으로 글로벌 보호무역주의에 대응하고, 차세대 친환경 기술을 개발해 위기를 넘겠다는 전략입니다. 김효진 기잡니다.
[기자]
공장 가동을 줄이며 위기 대응에 나선 철강업계가 ‘투트랙’ 전략으로 위기 돌파에 나서는 모습입니다.
실제 지난해 포스코가 포항 1선재공장과 1제강공장을 폐쇄한 데 이어 현대제철도 포항공장을 축소 운영하기로 하는 등 철강업황은 악화일로를 걷고 있습니다.
위기 극복을 위해 현대제철은 미국 내 제철소 설립의 논의 중입니다.
현대제철 측은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심화에 대응하기 위해 미국 등 해외 거점 확보를 검토 중”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생산설비 규모나 설립 위치 등 세부 사항은 논의 중입니다.
미국의 청정경쟁법(CCA),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제도(CBAM) 등 탄소배출에 대한 규제 강화에는 수소환원제철 등 저탄소 철강 기술을 개발해 대응한다는 계획.
유럽은 올해 도입하는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에 따라 철강과 알루미늄 등 6개 품목에 대해 내년부터 탄소세를 부과할 예정입니다.
포스코는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하이렉스, 현대제철은 전기로 기반의 하이큐브(Hy-Cube) 기술을 개발 중입니다.
철강업계 위기가 심화하자 정부와 업계, 학계가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 TF를 출범했습니다. 트럼프 2기의 보호무역 강화와 공급과잉, 그린전환 등 철강산업 현안에 대응하기 위해섭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올해 상반기 중 ‘철강산업 경쟁력 강화방안’을 발표해 철강업계 위기 돌파에 힘을 보탠다는 계획.
경쟁력 강화방안에는 탄소중립 전환, 글로벌 공급과잉 등과 관련한 업계의 다양한 요구사항이 반영될 전망입니다.
서울경제TV 김효진입니다. /hyojeans@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위클리비즈] "한-계란 없다"…배달의민족, 계란 프라이데이 팝업
- 현대건설, ‘가덕도 신공항’ 손 뗀다…“장기표류 가능성”
- “1시간 배송”…이마트·올리브영 ‘퀵커머스’ 승부수
- 네이버 1분기 실적 ‘방긋’…쇼핑앱 효과 ‘톡톡’
- 금호석유화학, 1분기 깜짝 실적…“2분기엔 관세 여파”
- 쎌바이오텍, 1분기 영업이익 14억원… 전년 대비 27.1% 증가
- 씨젠, 1분기 매출 전년 대비 29% 증가… 흑자 전환 성공
- 미시간 주립대, 서울서 글로벌 동문회 개최…“지식·가치 연결하는 플랫폼”
- 종근당, 기억력 감퇴 개선제 '브레이닝캡슐' 캠페인 런칭
- 롯데에머티, 1분기 영업손 460억원…적자전환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