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도체 특별법 ‘지지부진’…“AI 골든타임 놓친다”
경제·산업
입력 2025-02-11 18:16:38
수정 2025-02-11 18:16:38
김혜영 기자
0개
반도체, 내우외환…지원법 막히고 관세 우려
“AI 주도권 쥔다”…반도체에 막대한 투자 단행
반도체특별법, 주52시간 예외 조항에 ‘발목’
트럼프 “반도체·자동차 등에 관세 부과 검토”

인공지능(AI) 기술경쟁이 개별 기업을 넘어 국가대항전이 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뒷받침해줄 입법은 지지부진한 모습입니다. 여야가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 근무 예외’ 조항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데요. 전 세계적으로 AI 주도권을 쥐기 위해 반도체 등 첨단산업에 천문학적인 투자를 단행하는 것과 달리 한국은 ‘AI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김혜영 기잡니다.
[기자]
반도체 업계가 내우외환에 시달리고 있습니다.
미국 관세 폭탄 우려가 반도체 업계로 번질 것이란 우려 속에 산업 육성을 위한 국내 특별법 통과도 지지부진한 모습입니다.
[싱크] 김문태 / 대한상공회의소 산업정책팀장
“이중고인거죠. 나라 밖이나 안이나 여러가지 반도체 경쟁력을 키우는데 걸림돌이 많은 상황이죠. 법적으로 지원이 이뤄져야지 국내 기술력도 높이고 할 수 있는 건데 상대 경쟁국들에 비해서는 지지부진한거죠”
전 세계적으로 AI 주도권을 쥐기 위해 반도체 등에 천문학적인 투자를 단행하는 것과 달리 한국은 ‘AI 골든타임’을 놓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겁니다.
실제 반도체특별법은 연구직에 대한 주 52시간제 예외 적용 조항에 발목이 잡혔습니다.
업계에선 반도체 산업 특성상 경직된 근로시간 제한으로 주요 고객사의 요구에 제때 대응하기 어렵고 이는 곧 경쟁력 저하로 이어진다고 입을 모읍니다.
야당은 52시간 예외 조항을 뺀 반도체특별법을 먼저 처리하자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고, 여당은 ‘씨 없는 수박’이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반도체와 자동차 등에도 관세 부과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혀 긴장감이 맴돌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김혜영입니다. /hyk@seadaily.com
[영상편집 유연서]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대한항공, 2분기 영업익 3990억 원…전년 동기 比 3.5% 감소
- 중기중앙회, 2026년 적용 최저임금 결정에 "깊은 유감"
- 삼성중공업, 에버그린에 친환경 선박 'VR 솔루션' 설치
- 티웨이항공, 청소년 진로 탐색 위한 항공진로체험 교육
- 중기중앙회, 제5회 유통상생대회 개최
- 롯데온, 2025년 유통상생대회서 산자부위원장상 표창
- 홍찬욱 코이로 대표, ‘2025 사회적기업의 날’ 고용부 장관 표창
- '고맙당’ 저당고추장, 아마존 프라임 칠리페이스트 1위 달성
- 쿠팡 택배기사 10명 중 6명 ‘주 5일 근무’…CJ는 0.15명 그쳐
- 역전할머니맥주, 인니에 첫 해외 매장…K주점 글로벌 진출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