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계, 관세·탄소세 ‘이중고’…HMM엔 호재?

경제·산업 입력 2025-04-16 17:30:00 수정 2025-04-16 18:30:08 이혜란 기자 0개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앵커]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며 해운업계에 타격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세 도입 결정까지 더해지면서, 해운사들의 부담이 크게 늘 것으로 보이는데요. 하지만 HMM 등 일부 업체는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혜란 기잡니다.

[기자]
올해 초 2500선을 넘었던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이달 11일 기준 1394선까지 떨어졌습니다.
미중 갈등이 격화되면서 양국의 교역이 위축되고, 그 여파가 물동량 감소로 이어진 겁니다.

미국은 수입산 중국 제품에 145%에 이르는 관세를, 중국은 미국산 수입 제품에 125% 관세라는 맞대응에 나서며 상황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또 품목별 관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만큼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기업들의 수출 여건이 악화되면서 해운 물동량 감소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상호 관세는 현재 90일 유예 상태지만, 향후 언제든 재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해운업계는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국제해사기구(IMO)가 오는 2027년부터 탄소세 도입을 공식화했습니다.
5000톤 이상 선박이 온실가스를 기준치 이상 배출하면, 톤당 100달러에서 최대 380달러까지 탄소세를 물게 됩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국내 해운사들이 연간 최대 4조8000억 원 이상의 추가 부담을 안게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국적선사 HMM은 컨테이너선 중 중국 선박 비중이 6%에 불과하고,
중국 조선소향 발주도 없어 미중 갈등으로 인한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해운사들이 탄소세 규제를 충족하려면 신규 선박 발주와 함께 기존 선박에도 친환경 설비가 추가로 탑재돼야 하는 만큼 국내 조선업계도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전체보기

기자 프로필 사진

이혜란 기자

rann@sedaily.com 02) 3153-2610

이 기자의 기사를 구독하시려면 구독 신청 버튼을 눌러주세요.

페이스북 공유하기 X 공유하기 카카오톡 공유하기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댓글

(0)
※ 댓글 작성시 상대방에 대한 배려와 책임을 담아 깨끗한 댓글 환경에 동참에 주세요. 0 / 300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공지사항

더보기 +

이 시각 이후 방송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