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계, 관세·탄소세 ‘이중고’…HMM엔 호재?
경제·산업
입력 2025-04-16 17:30:00
수정 2025-04-16 18:30:08
이혜란 기자
0개

[앵커]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며 해운업계에 타격이 예상되고 있습니다. 여기에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세 도입 결정까지 더해지면서, 해운사들의 부담이 크게 늘 것으로 보이는데요. 하지만 HMM 등 일부 업체는 반사이익을 기대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옵니다. 이혜란 기잡니다.
[기자]
올해 초 2500선을 넘었던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SCFI).
이달 11일 기준 1394선까지 떨어졌습니다.
미중 갈등이 격화되면서 양국의 교역이 위축되고, 그 여파가 물동량 감소로 이어진 겁니다.
미국은 수입산 중국 제품에 145%에 이르는 관세를, 중국은 미국산 수입 제품에 125% 관세라는 맞대응에 나서며 상황이 격화되고 있습니다.
또 품목별 관세는 여전히 유지되고 있는 만큼 한국을 포함한 글로벌 기업들의 수출 여건이 악화되면서 해운 물동량 감소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상호 관세는 현재 90일 유예 상태지만, 향후 언제든 재개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해운업계는 긴장을 늦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국제해사기구(IMO)가 오는 2027년부터 탄소세 도입을 공식화했습니다.
5000톤 이상 선박이 온실가스를 기준치 이상 배출하면, 톤당 100달러에서 최대 380달러까지 탄소세를 물게 됩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은 국내 해운사들이 연간 최대 4조8000억 원 이상의 추가 부담을 안게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하지만 국적선사 HMM은 컨테이너선 중 중국 선박 비중이 6%에 불과하고,
중국 조선소향 발주도 없어 미중 갈등으로 인한 영향이 제한적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해운사들이 탄소세 규제를 충족하려면 신규 선박 발주와 함께 기존 선박에도 친환경 설비가 추가로 탑재돼야 하는 만큼 국내 조선업계도 기대감을 키우고 있습니다.
서울경제TV 이혜란입니다. /rann@sedaily.com
[영상편집 김양희]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뉴스
- 제네시스, '엑스 그란 이퀘이터 콘셉트' 세계 최초 공개
- “韓 시장 뺏길라”…테슬라, 모델Y ‘이례적’ 가격 인하
- ‘1兆’ 용산정비창 수주전…잇단 사고에 포스코이앤씨 ‘빨간불’
- “최신폰이 구형만 못해”…삼성, 갤S25 역차별 ‘논란’
- 서경배 ‘중국몽’ 끝나나…아모레, 中공장 ‘셧다운’ 수준
- 엔씨, 보릿고개 언제까지…1분기 실적도 ‘우울’
- 금호타이어, 초고성능 브랜드 ‘엑스타’ 신제품 선봬
- 이지텍, ‘무해체 보 데크플레이트’로 건설 시장 혁신 이끈다
- 위드위, 초분광 AI로 폐플라스틱 선별 효율 높인다
- 에너사인코퍼레이션, 폐전력 재활용…“에너지 효율 극대화”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국립순천대, 이병운 총장 취임 2주년 '지역과 동반 성장' 기틀 마련해
- 2남원시 공직자, 산불 피해 지자체에 1,900여만 원 성금 전달
- 3남원시, '챗 GPT프롬프트 활용 세미나' 신청자 모집
- 4남원시의회 경제농정위, “국가예산 확보 통해 민생 회복 집중해야”
- 5국립민속국악원, 박수범의 '박봉술제 적벽가' 완창무대 개최
- 6남원시의회 자치행정위, 국가예산 확보 총력 당부
- 7서부지방산림청, 국유림 대부지 실태조사 추진
- 8고창군, ‘고창멜론·청보리밭축제’ 韓 대표브랜드 대상 2관왕
- 9방카슈랑스 ‘25%룰’ 20년만 손질…33~75% 완화
- 10경과원, 대학재정지원 패러다임 대전환 善導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