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금숙 기자

  • 최신순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카카오톡 챗봇 ‘케어챗’ 서비스 오픈
한림대 동탄성심병원, 카카오톡 챗봇 ‘케어챗’ 서비스 오픈
한림대 동탄성심병원은 외래 및 입원 환자와 보호자의 편의를 위해 카카오톡 기반 진료예약 서비스인 ‘케어챗(Karechat)’을 도입해 6월 12일부터 운영에 들어간다. ‘케어챗’은 별도의 앱 설치 없이 카카오톡 내 &l
2025-06-11이금숙 기자
알코올 의존과 정신질환, 같은 유전자 공유한다
알코올 의존과 정신질환, 같은 유전자 공유한다
알코올 의존, 폭음과 같은 음주 문제는 단순한 알코올 소비를 넘어 조절력 상실, 사회적·직업적 기능 저하, 신체적·심리적 피해 등 여러 문제를 동반함에도 스스로 통제하지 못할 정도로 음주가 반복되는 양상을 보인
2025-06-11이금숙 기자
올림푸스한국, 차세대 초음파 내시경 프로세서 ‘EU-ME3’ 공개
올림푸스한국, 차세대 초음파 내시경 프로세서 ‘EU-ME3’ 공개
글로벌 의료기업 올림푸스한국은 자사의 차세대 초음파내시경 프로세서 ‘EU-ME3’를 국내 출시 한다고 밝혔다. 제품은 오는 6월 12일부터 14일까지 열리는 ‘국제 소화기 내시경 네트워크 학술대회(IDEN 2025)’에서 첫
2025-06-11이금숙 기자
이정언 삼성서울병원 유방암센터장, 한국유방암학회 이사장 취임
이정언 삼성서울병원 유방암센터장, 한국유방암학회 이사장 취임
이정언 삼성서울병원 유방외과 교수(유방암센터장)가 제12대 한국유방암학회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임기는 2025년 5월부터 2년간이다. 회장은 김태현 인제대학교 부산백병원 유방외과 교수다. 이정언 신임 이사장은 취임 일성
2025-06-11이금숙 기자
셀트리온, ADC신약 'CT-P73' 전임상 결과 발표…
셀트리온, ADC신약 'CT-P73' 전임상 결과 발표… "우수한 치료지수 확인"
셀트리온은 이달 10일부터 12일까지 인천 그랜드하얏트에서 개최되는 '월드 ADC 아시아 서밋'에 참가해 항체·약물 접합체(ADC) 신약 후보물질 ‘CT-P73’의 전임상 결과를 발표했다고 11일 밝혔다. 월드ADC 아시아 서밋은
2025-06-11이금숙 기자
"의료데이터 활용해 신약 개발 성공 때는 국민에게 수익 배당"
전 국민 건강보험 데이터를 활용해 신약을 개발하고, 수익이 발생하면 이를 국민에게 배당하자는 정책 아이디어가 나왔다. 김화종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연합학습 기반 신약개발 가속화 프로젝트(K-MELLODY) 사업단장은 11일 온라
2025-06-11이금숙 기자
췌장암 신약 치료 효과, 써 보기 전에 알 수 있다?
췌장암 신약 치료 효과, 써 보기 전에 알 수 있다?
진화된 췌장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가 개발됨에 따라, 더욱 정확한 약물 효과 예측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세브란스병원 소화기내과 방승민·임가람 교수, 연세대 의대 내과학교실 김진수 조교는 췌장암
2025-06-11이금숙 기자
종근당, 시흥시에 2.2조원 투자해 바이오 연구단지 조성
종근당, 시흥시에 2.2조원 투자해 바이오 연구단지 조성
종근당이 경기 시흥시에 글로벌 바이오산업 단지를 조성한다. 국내 단일 바이오기업 투자로는 최대 규모인 2조2000억 원대의 투자 유치가 이뤄질 전망이다. 시흥시는 지난 10일 서울 종근당 본사에서 종근당과 함께 경기경제자
2025-06-11이금숙 기자
대웅제약, 스웨덴 살리프로와 신약 개발 협약
대웅제약, 스웨덴 살리프로와 신약 개발 협약
대웅제약이 스웨덴의 생명공학기업 살리프로 바이오텍(Salipro Biotech)와 손잡고 차세대 신약 개발을 위한 공동연구 협약을 체결했다고 11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살리프로는 독자적 막단백질 안정화 플랫폼인 ‘살리프로
2025-06-11이금숙 기자
제약바이오협회, BIO USA 2025 참가…“美 진출 교두보 넓힌다”
제약바이오협회, BIO USA 2025 참가…“美 진출 교두보 넓힌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가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의 미국 시장 진출 교두보 확보에 나선다. 협회는 노연홍 회장을 비롯한 협회 대표단이 오는 16일부터 19일(현지시간)까지 미국 보스턴에서 개최되는 ‘바이오 USA 2025’에 참가
2025-06-10이금숙 기자
한미약품, 미국당뇨병학회서 비만 신약 연구 6건 잇따라 발표
한미약품, 미국당뇨병학회서 비만 신약 연구 6건 잇따라 발표
한미약품이 오는 20일에서 23일까지 열리는 ‘미국당뇨병학회(ADA 2025)’서 비만신약 연구 6건을 발표한다. 이번 ADA 2025에서는 그동안 한 번도 공개된 적 없는 HM15275의 임상 1상 결과가 처음 발표될 예정이다. HM15275와 HM17321
2025-06-10이금숙 기자
폐렴구균 백신 '프리베나20', 만 18세 이상 성인 대상 접종 가능
폐렴구균 백신 '프리베나20', 만 18세 이상 성인 대상 접종 가능
한국화이자제약은 성인용 20가 폐렴구균 단백접합백신 ‘프리베나20’이 6월 초 출시돼 만 18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접종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프리베나20은 지난 해 10월 31일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를 받은 폐렴구균
2025-06-10이금숙 기자
일동제약 유노비아, 미국당뇨병학회서 먹는 ‘GLP-1’ 신약 연구 공개
일동제약 유노비아, 미국당뇨병학회서 먹는 ‘GLP-1’ 신약 연구 공개
일동제약그룹의 신약 연구개발 회사인 유노비아가 오는 20일부터 23일까지 미국 시카고에서 열리는 미국당뇨병학회(ADA)에 참가해 비만과 당뇨 등을 겨냥한 대사성 질환 신약 후보물질 ‘ID110521156’과 관련한 연구 성과를
2025-06-10이금숙 기자
'ERAS 프로그램' 덕분에…위암 수술 후 회복 빨라지고 통증 줄었다
'ERAS 프로그램' 덕분에…위암 수술 후 회복 빨라지고 통증 줄었다
위암은 우리나라에서 네 번째로 흔한 암으로, 조기 발견되거나 림프절 전이가 동반된 경우 근치적 절제 수술이 핵심 치료법이다. 최근 대부분의 위암 수술은 복강경이나 로봇을 이용한 최소침습 방식으로 시행되고 있으나, 수
2025-06-10이금숙 기자
고려대 의대 백신혁신센터, 정몽구 미래의학관 개관 기념 심포지엄 열어
고려대 의대 백신혁신센터, 정몽구 미래의학관 개관 기념 심포지엄 열어
고려대 의대 백신혁신센터가 오는 16일 오전 9시 30분 메디사이언스파크 동화바이오관 7층 승명호홀에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심포지엄은 정몽구 미래의학관 개관을 기념한 행사로, 국내 감염병 백신 연구기관들의 백신
2025-06-10이금숙 기자
심장 스텐트 시술 후 1년 내 암 진단…수술은 언제 해야 할까
심장 스텐트 시술 후 1년 내 암 진단…수술은 언제 해야 할까
심장혈관(관상동맥) 스텐트 시술을 받고1년도 안 되어 암을 진단받으면 수술은 언제 해야 할까. 기존에는 스텐트 시술 직후 출혈 위험이 커서 최소 6개월에서 1년 뒤로 미루는 게 일반적이었다. 삼성서울병원 폐식도외과 김홍
2025-06-10이금숙 기자
한림대성심병원 김석우 교수, 대한척추외과학회 제43대 회장 선출
한림대성심병원 김석우 교수, 대한척추외과학회 제43대 회장 선출
한림대성심병원 척추센터 정형외과 김석우 교수<사진>가 지난 5월 열린 2025 대한척추외과학회 정기총회에서 차기 제43대 회장으로 선출됐다. 김 교수의 임기는 2026년 6월부터 1년간이다. 대한척추외과학회는 척추 수술 및
2025-06-10이금숙 기자
셀트리온, 바이오USA서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 위한 파트너십 강화
셀트리온, 바이오USA서 신약 파이프라인 확대 위한 파트너십 강화
셀트리온이 이달 16일(현지시간)부터 19일까지 나흘간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2025 바이오 USA’에 참가해 글로벌 파트너십 강화에 나선다. 올해로 32회를 맞는 바이오USA는 전 세계 1800여 개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참가
2025-06-10이금숙 기자
조기진단 어려운 심방세동, '혈액 한 방울'로 예측
조기진단 어려운 심방세동, '혈액 한 방울'로 예측
혈액을 분석해 심방세동을 예측하는 AI 모델이 개발됐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정보영·김대훈·박한진 교수(심장내과), 의생명과학부 양필성 조교 연구팀은 혈액 속 단백질 정보를 기반으로 심방세동 발생
2025-06-09이금숙 기자
반대쪽 무릎에도 퇴행성 관절염 생길까? 서울대병원, 발생 예측 모델 개발
반대쪽 무릎에도 퇴행성 관절염 생길까? 서울대병원, 발생 예측 모델 개발
퇴행성 관절염 환자에서 반대쪽 무릎에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할 가능성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기반 모델이 개발됐다. 반대쪽 무릎에 퇴행성 관절염 진행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예측함으로써, 향후 조기 개입을 통한 예방적 관
2025-06-09이금숙 기자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