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혜영 기자

김혜영 기자
  • 최신순
삼성, 상반기 성과급 대폭 축소…메모리는 기본급 25%
삼성, 상반기 성과급 대폭 축소…메모리는 기본급 25%
삼성전자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부문의 올해 상반기 성과급이 최대 월 기본급의 25%로 책정됐다. 삼성전자는 4일 사내망을 통해 오는 8일 지급되는 올해 상반기 '목표달성 장려금'(TAI·Target Achievement Incentive)
2025-07-04김혜영 기자
KT, ‘안심플러스 무료 프로모션’…
KT, ‘안심플러스 무료 프로모션’…"인터넷 고객 해킹 예방"
KT가 증가하는 해킹 위협에 대응해 인터넷 이용 고객을 위한 '안심플러스 무료 프로모션'을 다음 달 31일까지 진행한다고 4일 밝혔다. '안심플러스'는 월 이용료 4400원에 가정 내 와이파이(WiFi)에 연결된 PC, 스마트폰 등 모든 기기
2025-07-04김혜영 기자
삼성 '비스포크 AI 원바디' 세탁·건조기 출시…
삼성 '비스포크 AI 원바디' 세탁·건조기 출시…"AI 기능 강화"
삼성전자가 7형 'AI 홈' 터치스크린을 탑재해 한층 강화된 AI 기능을 지원하는 2025년형 상하 결합형 세탁기∙건조기 '비스포크 AI 원바디' 신제품을 판매한다고 4일 밝혔다. 신제품 출시를 통해 소비자 선택의 폭을 넓히는 동시에 '
2025-07-04김혜영 기자
‘3%룰’ 포함 상법 개정안, 국회 통과…“지주사 재평가”
‘3%룰’ 포함 상법 개정안, 국회 통과…“지주사 재평가”
이재명 대통령의 대선 공약인 상법 개정안이 국회 본회의 문턱을 넘었습니다. 상법 개정안은 이사의 충실의무 대상을 주주로까지 확대하는 내용이 골자인데요. 지주사들이 수혜주로 거론되며 주가가 고공행진하고 있는데, 옥
2025-07-03김혜영 기자
'3%룰' 포함 상법 개정안, 국회 문턱 넘었다
'3%룰' 포함 상법 개정안, 국회 문턱 넘었다
상법 개정안이 3일 여야 합의로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상법 개정안은 이재명 정부에서 여야가 합의해 처리한 ‘협치 1호 법안’이 됐다. 상법 개정안은 이날 본회의에서 재석의원 272명 중 찬성 220표, 반대 29표, 기권 23
2025-07-03김혜영 기자
KT, 자체 개발 AI '믿:음 2.0' 공개…
KT, 자체 개발 AI '믿:음 2.0' 공개…"한국형 AI 대중화"
KT가 자체 개발한 거대 언어모델(LLM) '믿:음 2.0'의 오픈소스를 인공지능(AI) 개발자 플랫폼 허깅페이스(HuggingFace)를 통해 공개할 예정이라고 3일 밝혔다. 기업과 개인, 공공 누구나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제약 없이 개방되
2025-07-03김혜영 기자
LGU+, 알뜰폰 이용자 위한 간편 로밍 서비스 출시
LGU+, 알뜰폰 이용자 위한 간편 로밍 서비스 출시
LG유플러스가 자사 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고객의 로밍 서비스 가입 편의성을 높이고자 알뜰폰 전용 플랫폼 '알닷'을 개편했다고 3일 밝혔다. LG유플러스가 알닷에 새로 오픈한 로밍 신청 전용 페이지에서는 '로밍패스', '제로 프
2025-07-03김혜영 기자
SK텔레콤, 에이닷 엑스 4.0 지식형 모델 오픈소스로 공개
SK텔레콤, 에이닷 엑스 4.0 지식형 모델 오픈소스로 공개
SK텔레콤은 한국어 처리 능력을 가진 한국어 특화 LLM인 A.X(에이닷 엑스) 4.0을 오픈소스로 공개했다고 3일 밝혔다. SKT는 이날 오전 세계적인 오픈소스 커뮤니티 허깅페이스(Hugging Face)를 통해 A.X 4.0의 표준 모델과 경량 모델 2종
2025-07-03김혜영 기자
KT, 역대급 영업익 전망…SKT 실적 둔화 ‘불가피’
KT, 역대급 영업익 전망…SKT 실적 둔화 ‘불가피’
2분기 실적 시즌이 도래한 가운데, 통신3사의 희비가 엇갈릴 전망입니다. KT는 연결기준 역대급 영업이익이 전망되는 반면, 해킹 사태를 맞은 SK텔레콤의 실적 둔화는 불가피하다는 분석입니다. LG유플러스는 SK텔레콤의 유심 해
2025-07-02김혜영 기자
신성이엔지, 리투아니아 정부 관계자 용인 스마트팩토리 방문
신성이엔지, 리투아니아 정부 관계자 용인 스마트팩토리 방문
신성이엔지는 용인 스마트팩토리에 리투아니아 공화국 경제혁신부 등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방문했다고 2일 밝혔다. 이번 방문은 리투아니아가 2030년까지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공급한다는 목표 달성을 위해 한국의 선진
2025-07-02김혜영 기자
삼성전자, 삼성 아트 스토어서 '슈퍼맨' 아트워크 무료 공개
삼성전자, 삼성 아트 스토어서 '슈퍼맨' 아트워크 무료 공개
삼성전자는 오는 8월 31일까지 예술작품 구독 서비스 삼성 아트 스토어를 통해 '슈퍼맨' 아트워크 10점을 무료로 공개한다고 2일 밝혔다. 오는 9일 개봉하는 DC 스튜디오 히어로물 슈퍼맨은 DC 유니버스 리부트 시리즈의 첫 실사
2025-07-02김혜영 기자
LGU+, '일상의틈'에서 중소기업 제품 오프라인 판매 지원
LGU+, '일상의틈'에서 중소기업 제품 오프라인 판매 지원
LG유플러스가 한국중소벤처기업유통원과 손잡고 자사 복합문화공간 '일상비일상의틈byU+'와 특화매장 '일상의틈'에 중소기업 제품 판매 공간을 마련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유통 채널 확보에 어려움을 겪는 중소기업에 판로를
2025-07-02김혜영 기자
KT, 토스페이 통한 통신요금 자동납부 기능 도입
KT, 토스페이 통한 통신요금 자동납부 기능 도입
KT가 토스페이로 통신요금을 자동 납부할 수 있는 '토스페이 자동납부' 서비스를 새롭게 도입했다고 2일 밝혔다. 기존에도 토스페이를 통한 통신요금 즉시 납부는 가능했지만, 정기적으로 자동 납부되는 서비스는 처음 도입된
2025-07-02김혜영 기자
LG 구광모, 인도 이어 인니로…‘글로벌 사우스’ 공략
LG 구광모, 인도 이어 인니로…‘글로벌 사우스’ 공략
구광모 LG그룹 회장이 남반구 신흥국과 아시아 개발도상국을 뜻하는 글로벌 사우스 공략을 가속화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 경쟁 속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 신흥국을 새로운 공급망과 소비 시장 중심축으로 삼겠
2025-07-01김혜영 기자
[이슈플러스] “AI시대 공조시장 잡아라”…삼성·LG ‘승부수’
[이슈플러스] “AI시대 공조시장 잡아라”…삼성·LG ‘승부수’
삼성전자와 LG전자가 냉난방공조 시장을 새로운 먹거리로 삼고 공격적인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습니다. 대대적인 인수합병에 나서며 유럽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는 모습인데요. 산업 1부 김혜영 기자와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2025-07-01김혜영 기자
대진첨단소재, IR·PR 총괄로 김성권 상무 영입
대진첨단소재, IR·PR 총괄로 김성권 상무 영입
2차전지 공정용·자동차부품용 소재 전문기업 대진첨단소재는 IR·PR을 총괄하는 대외협력 임원으로 김성권 상무를 신규 선임했다고 1일 밝혔다. 김성권 상무는 IBK투자증권 공채 1기를 시작으로 대우증권과 미래에셋증
2025-07-01김혜영 기자
아나패스, 엔비디아 '어드밴스드 옵티머스' 호환성 인증…
아나패스, 엔비디아 '어드밴스드 옵티머스' 호환성 인증…"AI 노트북 공략"
코스닥 상장 반도체 팹리스 기업 아나패스는 엔비디아의 차세대 GPU 'RTX 50 시리즈(블랙웰 기반)'와의 호환성에 이어 최신 기술인 '어드밴스드 옵티머스(Advanced Optimus) 동적 디스플레이 스위치' 기능 인증을 추가로 획득했다고 1일
2025-07-01김혜영 기자
곽노정號 SK하이닉스, 실적·주가 전망 고공행진
곽노정號 SK하이닉스, 실적·주가 전망 고공행진
올해 2분기 실적 시즌이 도래한 가운데, 가장 주목받는 기업은 단연 SK하이닉스입니다. 2분기 역대급 실적을 써내려갈 거란 증권가 장밋빛 전망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요. 이에 화답한 주가도 고공행진하는 모습입니다. 김혜영 기
2025-06-30김혜영 기자
LGD, ‘2025 ESG 리포트’ 발간…
LGD, ‘2025 ESG 리포트’ 발간…"온실가스 배출량 43% 감축"
LG디스플레이가 지난해 ESG 경영 활동의 성과와 향후 목표, 달성 전략 등을 담은 ‘2025 ESG 리포트’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올해로 14번째 발간된 이번 보고서에는 ESG 위원회를 통해 도출한 9대 핵심 영역 ▲환경(E): 기후
2025-06-30김혜영 기자
LG전자, 2030년 ESG 목표 달성 '순항'
LG전자, 2030년 ESG 목표 달성 '순항'
LG전자가 지난해 국내외 사업장에서 97% 이상의 폐기물 재활용률을 달성한 가운데, 온실가스 배출량을 2030년 목표치에 근접하는 수준까지 감축했다. 재활용 플라스틱 사용은 전년 대비 36% 늘렸다. 오는 2030년까지 추진하고 있는
2025-06-30김혜영 기자

주요뉴스

공지사항

더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