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생명, 지급여력비율 또 떨어졌다…생보사 건전성 비상
금융·증권
입력 2025-01-14 17:52:22
수정 2025-01-14 18:09:19
김도하 기자
0개

[앵커]
생명보험업계 1위인 삼성생명의 건전성 지표가 또 다시 역대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시장금리 인하와 금융당국의 규제 강화로 생보업계 전반이 성장폭이 제한된 가운데, 삼성생명이 보유하고 있던 삼성전자 주가가 급락하면서 리스크가 확대됐습니다. 김도하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오늘(1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삼성생명의 지급여력비율 킥스(K-ICS)는 193.5%. 세 분기 연속 하락하며 처음으로 200%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킥스는 보험사의 보험금 지급 여력을 나타내는 건전성 지표로, 가용자본을 요구자본으로 나눈 값입니다.
삼성생명의 킥스는 지난해 1분기(212.8%) 전 분기 대비 6.0%포인트 하락했고, 2분기(201.5%) 11.3%포인트 급락한 데 이어 3분기(193.5%)에도 8%포인트 또 떨어졌습니다.
삼성생명의 킥스가 악화한 데는 삼성전자 주가 하락과 금리 인하가 작용했습니다.
삼성생명은 삼성전자 지분 8.15%를 보유한 최대 주주입니다. 삼성생명의 기타 포괄 손익 누계액이 금리 인하와 삼성전자 주가 하락 등의 영향으로 줄면서 가용자본이 감소한 겁니다.
삼성전자 주가는 지난해 6월 8만1,500원 수준이었으나, 9월 6만1,500원으로 24% 넘게 하락한 바 있습니다.
여기에 기준금리 인하 기조가 본격화하면서 생명보험사 전반에 어려움이 가중된 영향도 큽니다.
지난해 3분기 경과 조치를 적용한 국내 22개 생명보험사의 평균 킥스 비율은 211.7%로 전 분기 대비 0.9%포인트 하락했습니다. 같은 기간 손해보험사는 227.1%로 전 분기보다 3.1%포인트 올랐습니다.
생명보험사는 손해보험사보다 상대적으로 보험부채 듀레이션이 길기 때문에 금리 민감도도 그만큼 높습니다. 금리가 인하되면 상대적으로 부채 듀레이션이 긴 생명보험사는 순자산이 감소하면서 요구자본이 확대돼 킥스 비율 하락이 불가피합니다.
이밖에 금융당국의 규제 강화에 따른 킥스 하방 압력도 커지고 있습니다.
당국 방침대로 무·저해지 상품과 관련한 업계의 계리적 가정이 수정되고 할인율이 현실화되면 킥스가 더욱 하락할 수 있다는 관측입니다.
서울경제TV 김도하입니다. /itsdoha.kim@sedaily.com
[영상편집 김가람]
[ⓒ 서울경제TV(www.sentv.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Tag

관련뉴스
- 미래에셋생명, 호실적 힘입어 주주환원 강화 나선다
- 의무 보유 확대에…'스팩 우회상장' 택하는 中企
- BNK금융, '해양금융' 강화…"지역 산업 기반 새 기회"
- 인터넷은행 3사 2분기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 목표치 30% 상회
- KB국민은행, 소상공인 One-Stop 컨설팅센터 2호점 오픈
- 신한은행, 1000억원 규모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 달바글로벌, 수출 모멘텀 강력…목표가 24만원-NH
- 美주식 낮 거래 재개 추진…증권사 수익 확대 기대
- 韓 시장 진출 본격화?…美 서클, 거래소·은행 잇단 회동
- 석화 살리기 나선 금융권…"여신 회수 자제"
주요뉴스
오늘의 날씨
마포구 상암동℃
강수확률 %
기획/취재
주간 TOP뉴스
- 1병이라는 사랑의 은유
- 2남원 모노레일 사태, 시민단체 전·현직 시장·시의회 책임 촉구
- 3서부지방산림청, 산림 계곡 내 불법점용시설 특별단속 실시
- 4남원시, 동편제국악거리축제…송가인·안숙선과 전통과 현대 국악 향연
- 5남원 바이오기업, 베트남 해외시장 개척 박차
- 6남원시장애인종합복지관, 가상현실 스포츠실 설치
- 7구리시, ‘AI 디지털 마케팅 전문가 양성 과정’ 수료식 개최
- 8장수군-덕유산국립공원, 산악 관광 혁신 나선다
- 9강천산·장류체험관 찾은 일본 선수단, 순창 매력에 흠뻑
- 10국내 최초 치즈의 고향, 임실치즈마을 '2025 농촌여행 스타마을' 선정
댓글
(0)